Page 72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72
SPECIAL REPORT 챗GPT와 인간역량개발의 상관성
챗GPT 발發 일과 삶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는
‘테크놀로지’와 그것을 올바로 활용하는 ‘사람다움’이 있다.
이러한 사람다움은 문제해결능력, 윤리의식, 효율성을 비롯해
성찰하고 비판하며 더 나은 내일을 여는 역량을 아우른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3월 14일 OpenAI 다임 변화에서 HRD·교육 담당자들이
는 챗GPT-4.0을 공개했다. 기존의 챗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은 분명
GPT-3.5와 비교해서 성능이 더욱 좋아 존재한다. 하나의 굵직한 키워드로 요약
졌다. 구체적으로 챗GPT-3.5가 미국의 하면 결국 ‘사람다움’이며 앞서 있었던 4
변호사시험에서 하위 10%의 성적을 받 명의 전문가 인터뷰를 바탕으로 정리해
았는데 챗GPT-4.0은 상위 10%의 성적 보면 다음과 같다.
을 기록했다. 1번의 대화에서 처리할 수 첫째, 일과 삶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있는 단어도 챗GPT-3.5는 8천 단어였 무엇이 있는지 인식하고, 그것을 정확하
지만 챗GPT-4.0은 6만 4천 단어까지 게 이해한 다음 자신이 해낼 수 있는 부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챗GPT-4.0은 채 분과 테크놀로지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
팅창에 이미지를 제시하면 그 이미지를 부분을 구분한 후 후자를 명확한 하나의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사진을 질문으로 표현해내는 능력이다. 이것은
보여주고 어떤 요리를 만들 수 있는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이며, AI와
물어보면 레시피를 추천해준다. 대화하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각계에
챗GPT로 인해 규모, 국적, 분야를 막론 서 강조하는 이유다.
하고 수많은 기업이 ‘생성 AI’에 각별한 둘째, 사람이 AI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하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업무와 비즈니 며 선택의 주체는 역시 사람이어야 한다
스에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 방안을 검 는 점과 사람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며
토하고 있다. 교육계도 마찬가지이며, 쌓이는 데이터는 꾸준히 기록되고 AI는
직업세계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중심 그것을 학습해서 답을 건넨다는 점 등을
에는 역시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테크놀 인지한 가운데 ‘누가 윤리적이어야 하는
로지가 있다. 하지만 챗GPT 발發 패러 가?’를 고민하며 올바른 AI 윤리와 철학
70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