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64

SPECIAL REPORT   챗GPT와 인간역량개발의 상관성





                 챗GPT의 신뢰도는 어느 정도라고 보시              궁금해하고 좋아하는지 예측하기 때문
                 는지 궁금하다.                           이다. ‘챗GPT는 거짓말을 아주 잘하고,
                 세계적인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Noam              편견을 갖고 있다’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Chomsky) MIT 명예교수는 챗GPT            나오는 이유이며, AI를 이해하는 과정에
                 를 ‘첨단기술 표절 시스템(high-tech           서 처음부터 AI 윤리에 대한 교육이 같
                 plagiarism system)’이라고 평가했고 ‘기     이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 또한, 사람은
                 계가 인간의 뇌를 추월하는 날은 아직               어떻게 챗GPT에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
                 동도 트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너무나             훈련해야 한다. 여기에서 질문은 포털사
                 도 공감하는 부분이다. 챗GPT는 읽기,             이트에서 정답이 나와 있는 내용을 검색
                 쓰기, 정리 등 그동안 인간이 하던 노력             하는 것보다 고차원적인 행위다. 예를
                 을 쉽고 빠르게 대신해준다. 분명 뛰어              들어 역사에 관련된 지식과 정보를 얻고
                 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챗GPT             자 하면 챗GPT에 ‘역사학자의 입장에
                 의 답변을 얼핏 보면 굉장히 그럴듯하               서’라는 ‘act as~’를 꼭 설정해줘야 한다.
                 다. 하지만 세밀하게 파고들면 틀린 내              그래야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과 엇비슷
                 용을 말할 때가 많고 표면적인 부분만을              한 답변이 나온다. 정리하면 앞으로 사
                 짚어주는 경우도 다수다. 또한, 챗GPT             람에게는 AI Awareness가 필수적이다.
                 가 참조했다고 설명한 논문이나 자료를
                 찾아보면 존재하지 않을 때도 있다. 말              AI와 차별화되는 사람만의 역량은 무엇
                 씀드린 기능은 분명 개선되기야 하겠지               이라고 보시는가.
                 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보인다.                 지난 역사를 돌아보면 확인할 수 있다.
                                                    놀라운 혁신은 언제나 한계에 굴하지 않
                 챗GPT의 올바른 활용을 위한 First             고 남다른 상상력을 마음껏 발전시키고
                 Step을 말씀해달라.                       그것을 발휘한 몽상가들이 일으켜왔다.
                 AI의 속성을 알아야 한다. 그것은 AI는            노엄 촘스키가 인간의 뇌를 복잡하면서
                 계속해서 데이터를 축적하며 그것을 기               도 정교하고 창조적이라고 평가한 이유
                 반으로 ‘학습’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             는 언급한 속성을 통해 존재하지 않았던
                 록의 위험성을 알아야 한다. 챗GPT에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동력이기 때문
                 계속 개인적이고, 엉뚱하고, 이상한 질              이다. 그런데 AI는 과거의 데이터에 기
                 문만 하다가 갑자기 전문성을 요구하는               반해서 추론한다. 상상이 아니라 예측이
                 질문을 던지면 원하는 대답을 얻지 못한              다. 그러니 챗GPT가 도출한 결과물을
                 다. 로그인을 한 다음 사용자가 챗GPT             비판적 사고를 통해 검증하고, 그것을
                 와 나눴던 대화는 왼쪽 창에 나열되며               바탕으로 고차원적 상상을 해보고, 그
                 하나의 기록이 된다. 챗GPT는 그것 역             결과물을 실행하는 것이 여전히 사람 고
                 시 분석해서 사용자가 어떤 부분을 주로              유의 역량임을 알 수 있다.


                 62  HRD MAGAZINE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