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59

사람에게 필요한 역량은                       모든 도구는 활용하는 사람의 역량에 따라

                                    위협이 되기도 하고, 도움이 되기도 한다.
 무엇인가                             그런 측면에서 어떤 질문에든 답하는 챗GPT는
                                인간역량개발의 본질과 방향에 큰 시사점을 던진다.











                     챗GPT로 인해 ‘이제 사람은 어떤 역량             수는 ‘위기는 기회다’라는 말처럼 챗GPT
                     을 개발해서 발휘해야 하는가?’에 대한              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수행에 드는
                     고민과 논의가 거듭되고 있다. 관련해서              시간을 대폭 줄여주는 만큼 사람이 더욱
                     『월간HRD』는 학계와 산업계에서 활동              사람다워지도록 돕는 도구라고 설명했
                     하고 있는 4인이 전문가와 만나 대담을              다. 경험, 지식, 기술의 폭을 넓히고 깊
                     나눠봤다.                              이를 더하며 더욱 창의적인 역량을 높이
                     먼저 안성진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                고 발휘하기 위한 도구로써 챗GPT를 활
                     과 교수는 ‘AI와의 대화법 & AI 윤리와           용해야 한다는 시선이다.
                     철학’을 골자로 AI와 대화하며 맞춤형              그리고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
                     역량개발 방법을 찾는 역량을 길러야 하              장은 속도가 생명인 경영환경에서 빠르
                     며, 사람을 위한 도구와 기술의 효용성              고 질적 수준이 높은 의사결정과 맞춤형
                     과 가치를 올바로 정립하는 AI 윤리를              고객·직원경험을 챗GPT가 어떻게 지
                     꾸준히 교육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원하는지, 교육에서는 어떻게 챗GPT가
                     다음으로 김민정 단국대학교 교직교육                활용될 수 있는지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
                     과 교수는 챗GPT의 기능과 답변을 다각             로 설명했다.
                     도로 검증해야 하고, 문제/프로젝트 중              4인의 전문가는 각자의 관점과 방식으
                     심 교육에 적절히 활용해야 하며, 교육              로 챗GPT를 분석했고, 공통적으로 ‘챗
                     관계자라면 명확한 교육관과 윤리의식                GPT는 거짓말을 아주 잘하는 만큼 비판
                     으로 챗GPT를 바라봐야 하고, 앞으로              적 사고를 통한 성찰과 검증이 필수적이
                     사람만의 한계 없는 상상력이 더욱 중요              다’라며 사람의 역량을 강조했다. 이들이
                     해졌다고 진단했다.                         상세하게 풀어낸 의견은 다음 페이지부
                     이어서 차경진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               터 확인할 수 있다.


                                                                            APRIL HRD  57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