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55
다르기에 모호한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구성원에 대한 관
이렇듯 모호한 직원경험의 개념을 LG화 심이다. 구성원을 중심으로 그들이 무엇
학의 조직문화개발팀은 직원 설문조사 을 필요로 하는지, 현업에 어떤 문제가
를 통해 구체화했다. 결과물을 분석했을 있는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최근에는
때 직원이 긍정적으로 느끼는 경험은 크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과 법
게 ‘인정’, ‘영향력 발휘’, ‘성취’, ‘긍정적 적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이 성행
인 관계’, ‘자율성’으로 모아졌다. 하는 추세여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
LG화학은 이를 매직박스로 통칭해 일 교육은 학습자의 공감이 필수적이다. 필
컫는데, 해당 키워드를 통해 알 수 있는 요한 것을 제공하거나 필요성에 대한 공
것은 결국 과거가 된 경험을 되돌아봤 감이 이뤄진 다음 교육이 진행돼야 한
을 때 자신의 성장에 도움이 된 부분들 다. 학습자가 필요하다고 느낀다면 콘텐
을 떠올리고 이를 긍정하게 된다는 것이 츠의 형태는 상관없다. 종이 1장일지라
다. 고로 다발적인 이벤트로는 실질적인 도 필요한 내용이 담겼다면 그것만으로
결과를 얻기 어렵고 직원의 성장을 지원 충분하다. 이러한 본질에 다가가기 위해
하는 일터를 중심으로 직원경험을 설계 서는 HRD 업무에 대한 정의가 확장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LG화학은 야 한다고 본다.
리더 교육을 변화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가령 리더십 교육에서 본질은 리더가
따라서 직원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현업에서 리더십을 잘 발휘할 수 있게
수 있도록 하는 리더의 역할에 대한 교 하는 것이고, 이를 지원한다는 목적으
육을 진행했고, 사람마다 긍정적인 정 로 HRD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결국
서를 느끼는 데 차이가 있는 만큼 5가지 HRD 담당자들은 단순히 교육과정을 만
가치를 주입식이 아닌 각 구성원 맞춤형 들어 제공하는 사람이 아닌, 현장의 니
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중 즈를 발굴하고 분석해서 어떤 프로그램
시하고 있다. 을 설계할 것인지 기획하는 사람들인 것
이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의 전
HRD의 역할과 앞으로 HRD 담당자가 문가가 누구이며, 전문적인 지식이 담긴
갖춰야 할 역량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도서는 무엇이고, 구성원을 위한 학습자
과거 LG화학 입사를 위해 참여한 임원 료는 어떤 것인지 파악해서 적시에 제공
면접에서 당시 면접관께서는 제게 HRD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HRD가 기
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 업의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역량을 발휘
고, 사람과 구성원에 대한 관심을 강조 할 수 있다. 즉 일한 만큼 공정하게 보상
했었다. 그리고 수습기간 동안 울산 공 과 평가를 받고, 일을 통해 성장할 수 있
장 천 명의 구성원 이름을 외우는 과제 는 좋은 일터를 만드는 것이 HRD인들
를 받았던 기억이 있다. 여전히 HRD에 의 과제다.
APRIL HRD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