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47
든 나뭇잎이 꽃이 되는 제2의 봄이다’라 하는 색다른 질문들을 던지며 지혜를 쌓
는 말을 남겼다. 이것을 저는 ‘중년은 모 아야 한다.
든 역경이 경력이 되는 제2의 봄이다’로
재탄생시켰다. 전대미문의 새로움은 읽 마지막으로 ‘독서’의 의미를 짚어달라.
기, 필사, 생각, 가공 등을 거듭하며 만 향후 저술 계획도 말씀해주시면 감사하
들어진다. 그리고 우치다 다쓰루는 ‘무지 겠다.
는 나태의 결과가 아니라 근면의 성과다’ 독서는 오이를 피클로 바꾼다. 읽기 전
라고 말했다. 저는 위 문장을 참조해서 으로 되돌아갈 수 없으니 독서는 위험하
‘한계는 한 게 없는 사람의 핑계다’라는 다. 그리고 독서는 거울이자 창이다. 지
새로운 문장을 만들었다. 이외에도 저는 금의 삶을 돌아보며 반성할 수 있고, 새
호기심을 잃지 않으며 수많은 경험(여 로운 창을 열어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
행, 강연, 교육, 강의 등)을 축적하고, 다 기 때문이다. 사람의 미덕은 부끄러워하
양한 말을 찾아본다. 문장은 독특한 체 며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는 데 있는 만
험을 언어로 벼리고, 적확한 단어를 씀 큼 독서는 중요하다. 추가로 당부의 말
으로써 탄생하는 것인 까닭이다. 을 전하자면 책을 읽는 데만 그치지 않
고 책을 써봐야 한다. 어렵게 느껴진다
이번 책은 인공지능·챗GPT 시대와 동 면 책을 읽고 느꼈던 점, 인두 같았던 문
시에 탄생했다. 그런 만큼 ‘사람다움’은 장, 실천해야 할 부분을 3가지씩 써보고
어때야 하는지 말씀해달라. 마지막으로 책을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
책이 완성될 즈음 챗GPT와 대화를 나눴 해보길 바란다. 그러면 벌써 10개의 문
는데 ‘와인은 여인’이라는 은유법과 ‘사 장을 쓰면서 통찰을 얻을 수 있고 나만
람의 손가락은 왜 10개일까?’라는 질문 의 책을 쓸 체력도 기를 수 있다. 그리
을 이해하지 못한다. 논리와 과학을 말 고 앞으로의 행보를 공유하면 5월 즈음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무한 『내려가는 연습』이라는 책으로 독자들과
한 상상력을 인공지능이 따라오지 못한 만날 예정이다. 등산보다 하산이, 이륙
다는 뜻이다. 그러니 미래 인재상은 ‘전 보다 착륙이 더 위험하고 중요하며, 성
대미문의 문제를 일으키는 문제아’임을 공하는 사람은 잘 내려갈 줄 아는 사람
알 수 있다. 함민복 시인은 ‘아이의 손가 이다. 이외에도 여러 책을 준비 중인데
락이 10개인 이유는 엄마의 뱃속에서 몇 100번째 책은 시집으로 내고자 한다. 난
달의 은혜를 입었는지 세어봤기 때문’이 이도가 가장 높은 글인 ‘시’에 도전하고
라고 말했고, 정희진 작가는 ‘사랑의 끝 싶다. 빠르면 연말에, 늦으면 내년 상반
은 질문이 없어진 상태’라고 말했다. 챗 기쯤 탄생하지 않을까 싶다. 모쪼록 제
GPT가 과연 이런 문장을 이해할 수 있 책을 통해 많은 독자가 앎과 삶의 이중
을까. 결국 사람은 인공지능이 하지 못 주를 사랑하게 되길 바란다.
APRIL HRD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