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43

▲ 조일현 교수는 “직업과 배움의 가치를 깨닫게 되면 지금보다 더 좋고 새로운 내일을 열 수 있습니다.”라고 제언했다.




                     밖으로 시선을 둬야 한다는 뜻이며 인터              “이론은 정신없이 돌아가는 일터가 아닌
                     넷 발전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든 일하              정해진 시간에 누구의 개입/간섭 없이
                     고 학습할 수 있게 된 현실을 명확히 인             전문가들의 강의를 듣고, 전공과 관련한
                     지해야 한다는 메시지다. 그는 “사회 곳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같은 목표를 가진
                     곳에서 거주지역, 성별, 나이, 배경, 강            동료들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쌓
                     점 등이 제각각인 사람들이 생존을 위한              은 경험을 하나로 묶음으로써 정립됩니
                     학습에 열의를 보이고 있는데 이렇게 이              다.”라고 설명했다. 대학원의 장점이다.
                     질적인 학습자들의 니즈에 데이터를 중               또한, 그는 “누구에게나 HRD가 적성에
                     심으로 대응하며 HRDer들의 경쟁력을              맞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의 가치가 높아
                     높일 수 있는 키워드가 바로 ‘테크놀로지             지길 원한다면, 그 가치가 역량을 통해
                     기반HRD’입니다.”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보고 싶다면,
                     이렇게 Post HRD의 방향을 전망한 조            말씀드린 과정을 촉진하고 싶다면 충분
                     일현 교수는 HRD 분야에서 꾸준히 성              히 HRD에 투자할 만합니다.”라고 설명
                     장하고자 하는 후배들을 위한 제언과 당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뜻하지 않게 수
                     부의 말도 전했다. 그는 “누구나 자신만             행하게 된 일이 평생의 과업이 될 수 있
                     의 이론을 정립할 수 있으며, 이론은 사             는 만큼 직업과 배움의 가치를 인지하며
                     용, 응용, 활용을 쉽게 만들어주는 프레             살아가야 더 좋고 새로운 길을 걷게 될
                     임입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는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도 건넸다.


                                                                            APRIL HRD  41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