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42

HRD LEADER        조일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계속해서 HRD를 해봐야겠다’라는 마              이는 학습자 단위 수업 개발이나 효과적
                 음을 먹게 됐습니다. 이외에도 삼성인력              인 교육훈련 시행보다는 온라인이 무대
                 개발원에 있었을 당시 이러닝 시스템으               인 학습관리시스템(LMS)이나 학습자평
                 로 해외에 있는 주재원과 현채인을 교육              가시스템 설계에 집중합니다. 주제, 형
                 하는 SBEI(Samsung Business English on   식, 방식, 기간, 규모, 학습자, 교수자 등
                 the Internet) 프로젝트와 크루즈(선박)를       이 제각각인 Practice들을 수용하는 플랫
                 연수용으로 개조해서 교육생과 강사를                폼을 만드는 것이죠. 이 플랫폼에서 발
                 태워 도쿄, 베이징, 상하이 등을 다니는             생하는 빅데이터를 잘 분석하면 개인 맞
                 선상연수 프로젝트에도 참여했었습니                 춤형 학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다. 돌아보면 획기적이고 도전적인 프로              조일현 교수는 ‘테크놀로지 기반 HRD’
                 젝트들이었고, 개인 역량개발 차원에 서              는 Post HRD의 핵심이라고도 진단하며
                 도 귀중했던 경험들입니다.” 이후 조일              그 이유를 설명했다. 먼저 그는 주52시
                 현 교수는 멀티캠퍼스(당시 크레듀)에서              간 근무제 시행으로 인해 근무시간이 끝
                 일하며 에듀테크 개발 및 컨설팅을 수행              난 다음 혹은 주말에 연수원이나 교육장
                 했고,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               에서 교육을 받을 수 없게 됐고, 코로나
                 수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19 팬데믹 창궐 이후 재택근무가 제도화
                 로 이동했다. 이때부터 그는 학교 안에              되며 온라인교육의 비중이 더욱 커진 현
                 서는 인재개발원장, 에듀테크융합연구                실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지 못하면
                 소장, MOOC센터장, 경력개발센터 원              HRD의 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장, 교수학습개발원장 등을 역임했고 대              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빠르게 그림을
                 외적으로는 한국기업교육학회장을 맡                 그려주고, 글도 써주고, 자료도 모아주
                 아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수많은 연구과              고, 방대한 데이터도 요약해주는 챗GPT
                 제도 수행했다. 최근에는 학생들 교육과              를 언급하며 “테크놀로지 리터러시를 바
                 한국연구재단에서 받은 연구과제 수행                탕으로 인공지능에 입력하는 ‘텍스트 프
                 을 비롯해 네이버, 육군교육사령부, 인              롬프트(명령어)’를 잘 만들고 개선하는
                 사혁신처 등과의 협업에 집중하고 있다.              역량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주목받
                 이렇게 근황을 소개한 다음 조일현 교수              고 있는데 ‘테크놀로지 기반 HRD’와 관
                 는 학습분석학을 중심으로 자신의 연구               련성이 매우 큽니다.”라고 짚어줬다. 여
                 영역을 설명했다.                          기에 더해 조일현 교수는 직장에 구애받
                 “학습자들이 테크놀로지에 기반해서 학               지 않고 살아가는 모습이 일상으로 자리
                 습할 경우 각기 다른 기록(데이터)이 남             한 만큼 HRDer들이 고객군을 확장해야
                 습니다. 저는 이런 데이터를 분석해서               한다고 강조했다. 회사 내의 신입사원
                 학습자들 각각에 맞는 처방을 제시합니               교육, 계층별교육, 직무교육, 승진자교
                 다. 그리고 저는 오프라인 교육장에 쓰              육 등에 집중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회사


                 40  HRD MAGAZINE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