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24

ISSUE





                 학습휴가제는 무엇을 목표로 운영돼야                기에서 인사이트를 얻거나 편안함을 느
                 하는가. 이에 관해 최성우 교수는 다음              끼는 모습을 떠올리면 됩니다. 근로시간
                 의 제언을 건넸다.                         을 갖고 다투는 일이 무의미한 이유입니
                 “첫째, 학습 기회 확대입니다. 직원이 학            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리면 세 가지 키워
                 습하면 수혜를 입는 곳은 결국 기업입니              드 모두 코칭과 병행해야 합니다. 사람
                 다. 회사의 눈치를 보며 대학원에 다니              은 근본적으로 학습에의 욕구가 있습니
                 는 학생들이 있는데 이들이 업무와 관련              다. ‘호모 아카데미쿠스’죠. 또한, 누구나
                 한 이론을 배우고, 토론하고, 프로젝트              자신만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를 수행하고, 논문을 써보면서 역량을               것을 끌어내 줘야 합니다.”
                 개발하면 회사를 한 차원 발전시켜 줄               최성우 교수의 제언은 워라밸(일과 삶의
                 인재가 됩니다. 부정적으로, 삐딱하게               균형)과 같이 특정 개념을 통합하기보다
                 볼 일이 아닙니다. 퇴사가 그렇게 걱정              는 편의성에 기반해서 구분하려고 하는
                 된다면 맞춤형 소통, 적절한 대우와 보              태도를 지적하고 있다. 702010모델을
                 상을 통해 직원들의 마음을 사로잡거나               봐도 조직의 성과와 개인의 성장에 영향
                 그러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면 됩니다.               을 미치는 학습은 일을 하는 과정에서
                 둘째, 자기주도적인 학습문화 조성입니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기회, 문화, 관점
                 다. 가장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문화는              등을 바탕으로 학습휴가제를 ‘삶이 곧 학
                 사람의 생각과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              습이다’를 실천할 귀중한 기회로 삼아야
                 치기 때문이죠. ‘삶이 곧 학습이다’라는             하는 이유다. 최성우 교수는 “뭐든 처음
                 말씀을 드렸는데 리더를 비롯한 모든 구              이 어려울 뿐, 계속하면 숙달됩니다.”라
                 성원이 업무에서든 교육에서든 처음부                고 제언했다.
                 터 끝까지 주도적으로 해내는 습관을 갖
                 추도록 해야 합니다. 지원이 필요하다면              학습휴가제 정착을 위한 HRD 부서의
                 제때 최소한 개입하면 되고, 동기부여를              과제
                 자극하고 싶다면 적절한 보상을 지급해               학습휴가제가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정
                 도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셋째, 휴가/휴            착돼서 시행되기 위해 HRD 부서는 어
                 식에 대한 관점 전환입니다. 대표적으로              떤 역할을 수행해야 할까. 먼저는 경영
                 취미는 뇌과학적으로 봤을 때 뇌에 엄청              진에 학습과 휴가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난 활력을 주고 건강에도 도움이 됩니               설명해야 하며, 그것을 휴식과 혼동하지
                 다. 퇴근 후 1시간 혹은 2시간 운동을 즐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리스킬링과 업
                 기는 직장인들이 있는데 업무 능률 향상              스킬링 차원에서 도움이 되는 제도임을
                 에 도움이 됩니다. 이런 사례들이 아니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첫 단추다.
                 더라도 사무실에서 치열하게 일하다가                다음으로는 현장에 학습휴가제의 긍정
                 잠시 쉬면서 동료들과 얘기를 나누고 거              적 효과를 인식시켜야 하며, 직업능력개


                 22  HRD MAGAZINE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