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47
목적경영을 위한
경영진과 HR의 역할
▲ 목적경영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역량을 발휘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동인이다.
답이 된다. 예를 들어 풀무원이라는 기 담아야 한다. 조직이 원하는 목적경영을
업의 미션은 ‘바른 먹거리로 사람과 지구 위한 역량을 정의하고 강화시켜 나가야
의 건강한 내일을 만드는 기업’이다. 위 하는 것이다. 셋째로 목적경영과 관련한
문장을 보면 매우 쉬우면서도 명확하게 좋은 사례를 다수 찾아내고, 그것을 전
‘why?’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둘째, 목 사에 공유하고 누적해 나가는 작업이 필
적경영이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운영될 요하다. 목적경영은 오늘부터 시작한다
수 있도록 하는 뚝심이 있어야 한다. 짧 고 당장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
게는 3년 후, 길게는 5년 후 혹은 10년 니다. 한땀 한땀 만들어가는 과정이 바
후 미래의 모습을 내다보면서 꾸준히 목 로 목적경영이다.
적경영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월간HRD』는 경영진과 HR 담당자에게
이어서 HR의 역할을 보면 경영진의 목 좋은 정보와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데 있
적경영이 조직의 구성원에게 내재화될 어 매우 효과적인 채널이라고 생각한다.
수 있도록 그것을 교육 프로그램과 제 앞으로도 조직이 목적경영을 잘 해낼 수
도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로는 있도록 경영진과 HR담당자에게 도움이
목적경영에 관한 내용을 교육 프로그램 되는 메시지를 꾸준히 게재해 주길 바란
속에 생생하게 담아내야 한다. 반복적 다. 나아가서는 목적경영을 위한 목적과
인 노출과 학습으로 구성원이 우리 조직 목표, 성과와 실적, 직급별 구성원의 역
의 미션을 정확하게 이해하게끔 해야 하 할과 행동 등을 현장의 전문가들이나 학
는 것이다. 둘째로는 구성원의 역량평가 자들 취재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정리
에 있어 목적경영을 위해 필요한 역량도 해서 소개해주길 희망한다.
APRIL HRD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