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46

HRD REVIEW





                 목적경영을 위한

                 경영진과 HR의 역할













                             글_이인우 박사










                 『월간HRD』 3월호에서 인상적이었던 기             면서 적응할 수 있도록 조직을 ‘전문가들
                 사는 「ISSUE」 중 하나였던 ‘존재우위 구          의 놀이터’로 만들어 주어야 한다. 다섯
                 현의 토대, 목적경영’이었다. 여기에서              째, 구성원들의 맞춤형 성장을 지원하고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그들이 각자의 성장을 도모하면서도 조
                 님의 혜안에 크게 공감했다. 간략하게               직에 헌신하도록 하는 서번트 리더십을
                 정리해 보면 6가지 메시지를 담고 있었              발휘해야 한다. 여섯째, HR은 목적경
                 다고 생각된다.                           영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직
                 첫째, 목적경영은 눈앞에 보이는 이익을              원이라는 토양에 목적의 씨앗을 심고 온
                 넘어선 것으로 차별화된 목적은 기업을               전하게 열매로 산출되도록 하면서 그 열
                 견고하게 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로 이끄               매가 자라는 공간인 과수원을 잘 가꾸는
                 는 나침반이 된다. 둘째, 목적경영을 실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현한다면 기업은 근본적인 비즈니스 혁               목적경영이 조직에 정착하고 제대로 운
                 신과 사회적 가치 실현이 가능하다. 셋              영되기 위해서는 경영진과 HR이 구체
                 째, 목적경영을 위해 기업은 구성원들이              적인 역할을 정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발적인 성찰을 체화할 수 있도록 해야              먼저 경영진의 역할을 보면 첫째, 무엇
                 하며, 구성원들이 목적이라는 씨앗을 주              이 목적경영인지 명확히 정의하고 설명
                 체적으로 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             해 주어야 한다. 구성원이 회사의 미션
                 째, 구성원들이 스스로 전문성을 고취하              을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why?’에 대한


                 144  HRD MAGAZINE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