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2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42

PUBLIC WRITING ACADEMY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공무원들이 보고서에 스트레스 받는 이유>


















                                                  자료 출처: 국가공무원 36,169명 대상 설문결과(국가인재원, '22.3.30~4.12, e사람)






                 원은 보고서 교육에 대한 분명한 관심과              대한 주도권을 갖고, 디지털 플랫폼으로
                 수요를 기반으로 현업과 연계된 맞춤형               동료, 온라인 사수, 전문가와 유기적으
                 교육을 설계했고, 운영과정에서도 학습               로 연결되어 함께 참여하고 상호작용할
                 자 반응(소감, 난이도 등)을 신속하게 모            수 있는 새로운 학습경험을 설계했다.
                 니터링하며 수정·보완했다.                     짧고 재미있는 숏폼, 카드 뉴스 및 20분
                                                    내외의 짧고 재미있는 공감 사례를 활용
                 #2. 재미, 케미, 즐거움 가득한 온라인            해서 콘텐츠의 유익성을 높였다. 5명의
                 학습환경                               온라인 사수가 1대1 개인별 피드백 리
                 넘쳐나는 디지털 콘텐츠 홍수 시대에서               포트를 제공했고, Best & Worst 답안 사
                 는 즐거움, 지속성, 자발성 높은 학습환             례, 자주 틀리는 부분 등을 종합해설 영
                 경 조성이 중요하다. 토스랩의 보고서에              상으로 제공했다. ‘과연 온라인으로 학습
                 따르면 MZ세대는 디지털 디바이스 기               자가 정해진 기간에 과제를 잘 수행하고
                 반 소통을 선호하고, 자신의 성장을 위              참여할까?’라는 우려가 무색할 정도로
                 한 수단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는               약 230명이 실습과제를 제출했고, 댓글
                 학습패턴을 강하게 보인다. 즉 실제로               로 참여한 이들이 210명에 달하는 등 활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맞춤형 콘텐츠에               발한 학습 활동이 눈에 띄었다. 국가인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즉각적인              재원은 학습자의 닉네임(예: 글쓰기 초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보 탈출, 야 나도 잘 쓴다 등) 설정, 칭찬
                 국가인재원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에                배지(badge), 보고서 달인 선정, 우수 학


                 140  HRD MAGAZINE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