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21

▲ 조직문화 혁신과 인재경영 수준 제고를 위해서는 채용 프로세스를 면밀하게 점검해야 한다.









                     경영진이 원하는 인재상이 어떤 사람인               만 존재하는 가짜인 경우가 많다.
                     지 이해하고 있다고 말하겠지만 이러한               핵심가치는 조직 구성원이 서로에게 기
                     암묵적 상상으로는 조직에 핏한 인재를               대하는 모습이자 일하는 방식이다. 핵심
                     채용할 수 없다. 조직에 핏한 인재를 채             가치가 고려되지 않는 채용은 신규입사
                     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의 정의가              자가 조직에 적응할 확률을 매우 떨어뜨
                     반드시 필요하다.                          린다. 이는 신규입사자의 턴오버를 높일
                     첫째, ‘우리 회사의 미션을 달성하기 위             뿐만 아니라 기존 구성원의 사기를 저하
                     한 조직문화를 반영한 핵심가치 - 조직              시킨다.
                     문화 Fit’, 둘째, ‘채용하는 포지션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직무역량 -             핏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한 노력
                     직무역량 Fit’이다.                       그렇다면 핏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서
                     하지만 많은 조직이 직무역량에 대해서               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먼저 우리 조
                     는 고민하지만, 핵심가치에 대해서는 고              직에서 사용하는 선발 도구에 대한 점검
                     민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채용하기 전              이 필요하다. 보통 조직에서 쉽게 활용
                     에 실무적으로 핏한지는 고민하지만, 조              하고 있는 선발도구는 채용공고, 지원
                     직에서 지속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지              서, 인적성 검사, 직무능력 평가, 구조
                     에 대한 문화적 핏함은 고려하지 못하고              화 면접 등이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이
                     있다는 뜻이다. 심지어 조직의 일하는               러한 선발 도구들이 무엇을 검증하기 위
                     방식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핵심가               함인지 인지하지 못한 채 채용 과정에서
                     치(Core Value)의 경우 홈페이지용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APRIL HRD  119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