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9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19
▲ 사례연구법을 통해서는 Content와 Process의 차이, 피드백의 중요성을 체득할 수 있다.
에서 집단 구성원은 서로에게 호감을 느 는 것은 Process가 산출해내는 단편적인
끼거나, 말을 편하게 하거나, 가까이 있 데이터 파악뿐이며 그것들도 감각을 통
거나, 멀리 있거나, 구성원 각각이 수행 해 파악할 수 있을 뿐이고, 교육생들 역
하는 역할은 유동적이거나, 집단 분위기 시 본인들 나름대로 지각할 따름이다.
가 가라앉아 있기도 하다. 그야말로 변 따라서 각자가 각양각색으로 지각한 데
화무쌍한데 이것이 Process 측면이다. 이터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Process를 공
Process를 파악하는 능력을 높여주는 과 동으로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을 때, 상
정은 상대방의 기분이나 처지를 알아차 호 진실에 가까운 Process를 공유·공감
리고, 상대방과 바람직하게 소통하는 방 하게 되며, 같은 이해라는 기반 위에 설
법을 익히고, 집단의 상황을 파악하고, 수 있게 된다. Process의 공유·공감은
문제를 예리하게 분석하고, 더 효과적인 그룹/집단/팀 구성원 사이의 결속력을
역할을 수행하고,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 강화하고, 그로써 효과적이고 성공적으
하는 것과 직결된다. 로 과제를 달성하는 능력 향상으로 이어
그러나 Process를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진다. 체험학습에서 Process 피드백을 강
파악할 수는 없다. 교수자들이 할 수 있 조하는 이유다.
APRIL HRD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