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17
사례연구법은 그 자체로 변화무쌍하며
실무에 기반하는 만큼 판단력과 응용력을 높여준다.
또한, 집단토의법과 연계해서 진행되기에
생각과 행동의 문제점 파악과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자주적이고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전 법으로는 Harvard 방식이라고 하는 사례
통적인 강의형 교육은 그 내용이 추상적 를 보면 일시에 인쇄물로 제시하는데 여
일 때가 많고, 수강자는 수동적으로 변 기에 준거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그
모할 수 있으며, 때때로 따분함과 지루 러나 Case 자료의 일부를 약간 제시하거
함을 줄 수 있다. 반면 사례연구법은 자 나, 참여자나 그 집단 내의 구성원들에
주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특 게 역할을 부과하는 형태로 제시하거나,
히 상당한 지식, 경험, 능력을 지닌 사람 구두나 슬라이드나 혹은 필름 등으로 제
에게 사례연구법은 가장 바람직한 방법 시할 때도 있다.
이다. 넷째, 상호작용 원리에 따라 자기 2단계는 ‘사례와 사실 인정’이다. 사례연
의 생각이나 행동에 잘못된 것이 있으면 구에서 가장 조심해야 하는 것 중 하나
이것을 스스로 깨닫고 반성하며 바람직 는 사례를 여러 번 읽은 다음 속단하는
한 태도를 갖추게 된다. 점이다. 사례 속에는 얼핏 보면 하찮게
생각되는 것이 뜻밖에 중요한 의미를 갖
사례연구 진행방법 는 경우가 상당하다. 특히 문장으로 기
사례연구는 Case 혹은 전개 방식에 따라 술된 Case는 자료가 부족한 경우가 많아
상당한 차이가 있다. 크게 살펴보면 7단 서 집단토의를 통해 사실을 추정해야 한
계가 있는데 일부는 생략되거나 역순일 다. 또한, 교육생이 자기 멋대로 해석해
때도 있다. 서 새로운 사실을 창작하지 않도록 지도
1단계는 ‘도입과 사례 제시’다. 사례연구 해야 한다. 흔히 ‘이 문장은 이렇게 해석
를 시작하기에 앞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 하기로 합의합시다’, ‘이 인물의 성격이
하는지 설명한다. 어떤 경우에는 짧은 나 역할은 일단 이렇게 결정합시다’라고
Case로 사례연구 연습을 시킨 다음 본격 자기 멋대로 날조하는 것이다. 이때 리
적인 Case를 제시할 때도 있다. 제시방 더는 ‘제시한 사례의 범위 내에서 도출된
APRIL HRD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