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11
시간이 지날수록 메타버스 콘텐츠는 지루해지고,
다시 이용할 필요성이 느껴지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럴수록 메타버스 교육훈련의 가치와 효용성을 높여
이용자 입장에서 흥미와 학습효과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메타버스 콘텐츠를 경험해보기 위해 많 내용들이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은 곳을 방문해서 체험해보고, 온라인으 필자는 문헌분석 및 여러 관계자와의 면
로도 여러 콘텐츠를 직접 이용해보았다. 담을 통해 파악한 내용을 종합하여 효과
실제와 유사하게 만들어진 캠퍼스와 강 적인 메타버스 교육훈련 콘텐츠 선정 기
의실을 둘러보기도 하고, 실제와 유사한 준을 네 가지로 정리해보았다. 메타버스
가상의 작업공간에서 실험이나 조립 등 콘텐츠가 이 중 한 가지 이상만 충족한
가상의 경험을 체험해보았다. 처음에는 다면 그래도 메타버스의 특성과 장점을
대부분의 메타버스 콘텐츠에 대해 호기 적절히 반영한 효과적인 콘텐츠라고 말
심과 설렘이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콘텐츠는 지루해지고, 다시 이용할 첫째, ‘메타버스 콘텐츠 선정 기준 ①:
필요성이 안 느껴졌다. 왜 이런 마음이 임장감과 반복학습이 가능한 콘텐츠’. 임
드는 걸까? 장감이란 실제와 같은 느낌을 말한다.
이번 글에서는 메타버스 교육훈련 콘텐 즉, 현실세계와 같은 공간감 또는 입체
츠의 가치를 높여, 이용자의 흥미와 학 감 등을 통해 실제 보고, 듣고, 만지는
습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 듯한 느낌을 주는 콘텐츠를 말한다. 그
일까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리고, 반복학습이란 동일한 또는 변화
효과적인 메타버스 교육훈련 콘텐츠는 (학습결과가 누적 반영되는 또는 시뮬레
무엇인지에 대해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 이터)하는 학습내용을 반영한 콘텐츠를
서 제시하고 있다. 실제 메타버스 교육 여러 차례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메타
훈련 콘텐츠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버스가 혼합현실 등으로 확장되면서 임
관계자와의 면담을 통해서 선행연구에 장감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고, 반
서 말하고 있는 효과적인 콘텐츠에 대한 복학습은 콘텐츠의 효용성 측면에서 고
APRIL HRD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