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 월간HRD 2023년 4월호
P. 108
EDUPLATFORM EVOLUTION
▲ 기업은 팀 단위 업무수행이 많은 만큼 팀 적합도 분석은 협업 활성화를 통한 성과 달성으로 이어지는 방법이다.
첫째로 팀원들 간의 업무분담이 원활하 생할 수 있다. 이는 인력 유출에 따른 인
지 않고, 협업이 어려워진다. 이는 팀 전 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팀
체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적합도 분석은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둘째로 의사소통이 매우 어려워진다. 팀 팀과의 조화도 깊이 고려해야 하며, 조
원들 사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으 직의 전반적인 생산성과 팀원의 업무 만
면 큰 갈등과 다툼이 발생할 가능성이 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높아진다. 이는 팀 내 분위기를 매우 악 점을 이해해야 한다.
화시키며, 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 마지막으로 기업에서 팀 내 적합도 분석
칠 수 있다. 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방향으로 활
셋째로 팀원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 용할 수 있다.
휘하지 못하고,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첫째, 팀 구성 최적화다. 팀을 만들 때
낮아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직 팀원들의 역량, 경력, 성격 등을 종합적
원들이 업무를 바라보고 수행하는 태도 으로 고려하여 적합한 팀원들로 구성하
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 팀 내에서 각자의 역할에 대한 분담
넷째로 적합하지 않은 팀 내 환경으로 과 책임을 적절히 조정하여 생산성 향상
인해 팀원이 이직을 결정하는 경우가 발 을 도모한다.
106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