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 월간HRD 2023년 3월호
P. 77
예술로 탐구생활 성과공유 컨퍼런스
▲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들이 각자의 관점과 사례를 바탕으로 미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토론하고 있다.
하면서 학습자들이 주제에 관해 열띤 토 서는 ‘새로운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시도,
론을 하며 공동의 목표를 해결하도록 하 그 현장 속으로’를 슬로건으로 박정은 예
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술가, 이충열 예술가, 김미은 매개자, 백
주제발표 이후 마련된 토론에서는 류 지현 교사가 발표에 나서며 학교 문화예
해석 고강초등학교 교감, 김서진 ABC 술교육에서 새로운 시도를 한 사례를 공
LAB 대표, 이신애 인천인주초등학교 교 유했다. 각자의 발표가 끝난 후에는 김
사가 학교 문화예술교육 다각화에 대해 선아 교수의 사회로 오픈토크가 진행됐
의견을 주고받았다. 류해석 교감은 “문 다. 이어서 폐회 및 자유 네트워킹을 마
화예술교육은 창조와 도전으로 세상을 지막으로 컨퍼런스가 마무리됐다.
바꾸며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라 이상의 컨퍼런스에서는 미래 인재를 육
고 말했다. 김서진 대표는 예술 강사로 성하기 위해서는 세계관 전환, 교강사
활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예술가와 교 역할 변화와 가치관 재정립, 환경과 시
육자가 함께 성장하고, 학생들이 비전을 스템 발전이 맞물려야 한다는 점이 강조
갖게 하는 수업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 됐다. 이는 교육 패러다임 혁신을 요구
리고 이신애 교사는 “학습자가 스스로를 하며, HRD 관계자들에게도 익숙한 과
예술가로 인식하도록 하면 창의성이 높 제다.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논의되고,
아질 것.”이라며 문화예술교육의 의의를 변화하고 있는 부분을 잘 살펴보며 시사
짚어줬다. 그런가 하면 사례발표 세션에 점을 얻어야 하는 이유다.
MARCH HRD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