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월간HRD 2023년 3월호
P. 65
PART Ⅱ 직업의식과 가치관 교육의 역할과 방향
▲ 올바른 의식과 가치를 바탕으로 일하는 구성원이 모이면 자연스럽게 건강한 조직문화가 조성된다.
할이 바뀌는 이들을 위한 교육과 임원들 소명은 삶에 의미와 목적을 부여하며 자
을 위한 교육 등에서 직업의식과 가치관 신이 수행하는 일이 더 나은 사회를 만
을 비중 있게 다뤄야 한다. 드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고 믿는 마음이
다. 따라서 직업과 소명의 본질을 중심
업의 본질 중심 소명의식과 바람직한 으로 직업의식과 가치관 교육을 시행하
윤리풍토 며 구성원의 인식을 바꿔야 한다. 연구
직업職業의 정의를 보면 ‘생계를 유지하 에 따르면 소명의식은 직무, 직업, 삶에
기 위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일 대한 높은 만족도로 이어진다. 자신을
정한 기간 동안 계속하여 종사하는 일’이 시키는 대로 일하고 주어진 일을 묵묵
라고 서술되어 있다. 조금 더 자세하게 히 수행하는 톱니바퀴가 아닌 1명의 가
보면 직職은 직분이나 직책 또는 벼슬을 치 있는 인재로 여기기 때문이다. 지금
뜻하며, 업業이 바로 적성과 능력에 따 처럼 회사를 경력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
라 해야 하는 일을 의미한다. 따라서 직 간 만큼 일하는 곳으로 바라보는 시점에
업의식과 가치관 교육은 업의 본질을 일 꼭 필요한 마인드셋이다. 긍정적인 부분
깨우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와 은 젊은 직장인들 역시 기성세대와 마찬
관련해서 유명한 사례가 미국 대통령과 가지로 승진은 풍부한 전문성, 뛰어난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청소부와의 대 업무능력, 회사의 비전과 목표에 대한
화다. 대통령은 “당신은 무슨 일을 하고 이해도를 갖춰야 가능한 것으로 바라보
있나요?”라고 물었고, 청소부는 “사람을 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들은 기업의
달에 보내는 일을 돕고 있습니다.”라고 리더인 임원을 대체로 ‘뛰어난 성과를 내
답했다. 강한 소명(calling)이 스며 있는 고 그것을 입증한 사람’, ‘회사 내에서 존
답이다. 경과 인정을 받는 사람’으로 바라보고 있
MARCH HRD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