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월간HRD 2023년 3월호
P. 147

리모트 워크 상황에서 리더는 구성원들이 부담감이나 두려움 없이
                             업무와 소통에 집중할 수 있는 실제적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다. “옆에 있으면 방금 말한 내용이 뭐냐            구성원의 상태(컨디션, 업무진행 상황
                     고 물어라도 보는데 그걸 할 수가 없어              등)를 확인해야 한다. “우리 팀은 10명이
                     요.”, “외로워요. 내가 이 회사의 구성원           넘는데 무슨 수로 1:1을 그렇게 자주 한
                     인지 프리랜서인지 모르겠어요.”, “방에             답니까??”라고 말하는 리더들도 있었지
                     서만 일하니까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               만 일단 한번 시작하고 나면 그 장점과
                     지 모르겠어요. 예전에도 잘 알았던 건              매력이 더 커서 수고스러움을 극복할 수
                     아니지만 오가며 듣는 소식이나 정보라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 자기만의 패턴도
                     도 있었는데.” 등이다.                      만들어 낸다.
                     소통에 있어서 이런 구성원과 리더 사               우아한형제들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뿌
                     이의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여               렸던 1:1 씨앗의 결실이 구성원과 리더
                     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우아한형제들               사이에서 좋은 후기와 사례로 보여지고
                     전사교육팀에서는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있어서 뿌듯함을 많이 느끼고 있다.
                     에 집중했다. 그중에도 특히 최근 몇 년             우리가 고민해야 하는 건 ‘beyond 1:1’이
                     동안은 1:1에 중점을 뒀다. 1:1은 단둘           다. 리모트 환경에서 구성원이 경험하는
                     이 만나는 형태일 뿐 그 안에서의 주제              회사는 팀으로 축소된다. 그래서 적어도
                     는 구성원 개인의 케어부터 업무 피드백              우리끼리는(적어도 팀 안에서) 일을 더
                     까지 다양하다. 회의로 전한 정보들이               잘하기 위해 누구에게나, 무슨 이야기든
                     구성원에게 잘 전달이 되었는지, 마음에              할 수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야
                     얼마나 불을 지폈는지 알 수 있는 방법              한다.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려면 리더
                     이 바로 1:1이다.                        의 노력이 가장 중요한데 1:1이 어느 정
                     사실 1:1의 중요성은 아주 오래전부터              도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전부는 아니다.
                     강조되어 왔다. 이미 잘하는 리더들은               이 안정감이 팀에서 조직 전체까지 어떻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1:1을 하고 있었              게 잘 확장될 수 있을지, 그로써 소통이
                     다. 그러나 특히 리모트 환경에서 구성              원활한 회사로 거듭날 수 있을지 실제적
                     원과 함께 성과를 만들어야 하는 리더라              인 방법론을 고민하고 구성원을 준비시
                     면 좀 더 세심하고 부지런히 1:1을 해서            켜야 하는 것이 다음 목표일 것 같다.


                                                                          MARCH HRD  145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