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99
HR ANALYTICS
HR 성과 연구:
HR 애널리틱스 요구역량과 산학협업
글_양재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요즈음 들어 인사 실무자들의 일상이 매우 복잡해지고 있다. 낮에는 열심히
업무를 수행하고, 저녁이나 주말이면 통계나 경영 관련 지식을 배우기 위해
학교 강의는 물론, 다양한 포럼이나 세미나에 참석하느라 분주하다. 이러한
인사직종 종사자들의 생활방식 변화는 일선 기업들의 본격적인 HR 애널리
틱스 도입에 기인한 바가 크며, 이는 HR 실무자들에게 적지 않은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처하는 기업과 인사 실무자들
의 노력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다소 파편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
서 이러한 노력에 있어 체계성을 확보하고, 그에 따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서는 HR 애널리틱스 실행의 올바른 방향성 정립이 요구된다. 그 대안으로
HR 애널리틱스 분야에 있어 기업과 학계 연구자들 간의 산학 협력을 제안
한다.
화와 HR 애널리틱스 도입은 HR 실무
글 싣는 순서
자의 역할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현
1. HR 애널리틱스의 확산: 현상과 개념적 대적 의미에서의 기업 활동이 시작된 산
본질에 관한 이해 업화 초기에 HR 기능은 노동 투입과 그
2. HR 애널리틱스와 조직맥락: 구글의 산소 에 따른 인건비를 계산하는 단순한 기
프로젝트, 믿어도 될까? 능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경제가 성
3. 기회 혹은 위기: HR 애널리틱스를 통한 장하고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HR 기
신新가치창출
능은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구체적
4. HR 성과 연구: HR 애널리틱스 요구역량 으로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통해 HR 기
과 산학협업
능은 더욱 체계화됐고, 1950년대-1960
년대를 거치며 정부의 감독 기능 확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경영환경 변 와 고용상의 차별 금지가 HR 분야의 중
96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