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93

LIVE JOURNAL Ⅱ





                                                    서 기관투자자는 투자대상 기업에서 지
                                                    배구조와 같은 사회문제가 발생하면 서
                     ESG는 경영전략의 중심을
                                                    신을 발송해서 해결책을 촉구하기도 하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고, 비공식 미팅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

                     전환시킨 만큼 그에 적합한                 다. 민 변호사는 “ESG 투자에서 행동주
                   HRD 솔루션 수립이 요구된다.                의 투자자들이 증가하면서 기업의 경영
                                                    전략 설립과 실행에 영향을 주고 있다.”
                                                    라고 짚어줬다.
                                                    다음 세션은 ‘대기업의 ESG 경영 방향’
                 그는 기존 가치투자는 ‘환경오염을 줄여              을 주제로 IBK기업은행의 ESG경영팀장
                 야 한다’와 같은 윤리적 동기로 이뤄졌지             인 유인식 공학박사가 맡았다. 유 박사
                 만, ESG로 인해 새롭게 대두되는 책임             는 ‘ESG가 과연 경영환경의 패러다임의
                 투자는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와 지속가               전환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질
                 능한 장기수익을 목적으로 투자의사결                문에 답하기에 앞서 ESG는 PR, CSR,
                 정과정에 ESG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              CSV, 환경 캠페인과는 다른 영역이라는
                 명했다. 민 변호사는 “ESG는 2006년에           것을 강조했다. ESG의 핵심은 성장을
                 제정된 UN책임투자원칙에서 본격화됐                전제로 한 분배를 의미하며, 이는 CEO
                 다.”고 평가하며 주요한 원칙 세 가지를             의 아젠다이며 기업의 목표가 된다는 면
                 소개했다. 첫 번째 원칙은 ‘ESG 이슈를            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분석과 의사결정에 반영한다’로 투               ESG는 지속성을 가진 패러다임의 변화
                 자가 결정되는 과정에서 ESG라는 비재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어서 유 박사는
                 무적인 지표를 보겠다는 뜻이다. 두 번              기업이 목표를 자발적으로 바꾼 이유에
                 째 원칙은 ‘행동주의적 주주가 되어서 주             관해 설명했다. 그는 “MZ세대의 유입과
                 주권을 행사하는 데 ESG 이슈를 활용한             사회가 기업의 변화를 촉구하는 움직임
                 다’이다. 세 번째 원칙은 ESG 정보의 요           도 이유 중 하나지만, 그보다 비재무적
                 구다. 이와 연계해서 대표적인 책임투자              항목에서 리스크를 발견하게 된 것이 더
                 전략으로는 네거티브 스크리닝과 행동                욱 큰 전환점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분
                 주의가 있다. 네거티브 스크리닝은 ESG             석했다. 그에 따르면 기존에는 ESG 데
                 경영의 성과가 낮은 기업은 투자 포트               이터를 기록 및 확인하지 못했지만 현재
                 폴리오에서 제외하는 방식이다. 후자인               는 일반적인 기업 대비 투자수익성이 높
                 ‘주주행동주의’는 주주들이 투자이익 또              다는 것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기업의 의사결              어서 유 박사는 ESG 경영 중 환경이 대
                 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며 책               표적인 키워드로 꼽히는 이유는 기후변
                 임투자를 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              화와 팬데믹 이슈, 조 바이든 미국 대통


                 90  HRD MAGAZINE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