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89

LIVE JOURNAL Ⅰ








                                 HRD 부서가 디지털 전환을 이뤄내려면
                              인공지능, 업무 자동화, 스마트 오피스와 같은

                             기술 기반 일과 학습이 이뤄지는 환경을 구축해서
                             인재들의 데이터를 꾸준히 축적·분석해야 한다.











                 서 작용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세상이 인             을 강조했다.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면 클
                 공지능 분야의 인재를 원하고 있다.”라며             라우드 기반 정보 수집 및 처리를 통해
                 디지털 인재육성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               정책 정보가 즉각적으로 투명하게 공개
                 했다.                                된다. 또한, 모바일과 웹 기반의 접근성
                 다음으로 이광호 국가교육회의 단장이                확보를 통해 의사결정에 더욱 많은 사람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민주적 교육정책               이 참여하고 상시로 모니터링하는 체제
                 의사결정을 설명했다. 그는 강연을 시작              를 구축할 수 있다. 그래서 빅데이터 기
                 하기에 앞서 내년 7월 출범하게 될 국가             술을 활용한 정책성과분석이 이뤄지는
                 교육위원회를 소개했다. 국가교육위원회               디지털 플랫폼이 중요한 것이다. 이어서
                 는 국민과 현장 전문가의 협의로 교육정              그는 미국의 사례를 공유했다. 미국은 열
                 책을 결정하는 행정위원회이다. 이 단장              린 정보 공유를 표방하며 열린정보 위원
                 은 교육정책에 관한 의사결정은 참여와               회와 열린혁신 포털을 이용한 토론을 활
                 소통을 기반으로 협의·공론화하는 민주               성화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만이 아닌 민
                 적 의사 결정 프로세스가 핵심이라고 말              간 차원의 토론회도 진행되는데 교육정
                 했다. 특히 그는 “정책정의의 합리성, 정            책논의 기구인 전 미주 교육위원회에서
                 책집행의 적절성, 정책성과의 우수성과               개최되는 토론회가 대표적인 사례다. 또
                 같은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고              한, 미국은 교육과 기술 관련 범정부 차
                 려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국민 참            원의 포털사이트가 운영되며, 여기에서
                 여 활성화 절차와 전략이 필요하고 정보              다양한 국민의 제안을 수용하고 교육 관
                 공개 투명성, 참여의 접근성, 정보 관리             련 조직 주최로 정기적인 토론회가 개최
                 효율성 등이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되고 있다. 이 단장은 “디지털 플랫폼은
                 그런 측면에서 그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              모든 국민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


                 86  HRD MAGAZINE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