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77
人生一生 SELF: 자기자신 찾기
나로서 행복하기 위한 시작
자아정체성과 신체이미지
글_일생경영학교 ‘나다움’
자아정체성(ego identity)은 행동, 사고, 느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내가 누구인지
일관성 있게 인식하는 것이다. 자아정체성은 성인기 이전의 모든 경험으로부터
유래하며, 성인으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과제를 해낼 수 있게 해준다.
그런가 하면 인간의 신체는 정신을 담는 그릇과도 같다. 신체가 건강하지 못하면
불행만이 가득할 것이다. 따라서 자아정체성과 신체이미지를 함께 이해해야 나로서
행복하기 위한 첫 단추를 꿰맬 수 있을 것이다.
자아정체성은 개인의 본질적인 특징을 게 된다. 반대로 정체성이 분명하면 자
타인과 지속해서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 신에 대한 혼란이나 갈등이 크지 않다.
한다. 자아정체성 안에는 개인의 정체감 분명한 정체성은 자신을 이해하고 유지
과 성격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무의 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정체성
식적 분투, 자아 통합 그리고 집단이 공 만 분명하다고 해서 자신에 대한 고민이
유하는 이상 및 자기내면과의 연대를 유 나 갈등이 없는 사람일까?
지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자아정체성은 사실 정체성이라는 것도 자신에 대한 생
개인의 견해, 행동 그리고 사회적 역할 각이다. 내가 믿고 있는 나의 정체성이
에서 드러난다. 이것은 어느 정도는 실 란 내가 알고 있는 나의 모습에 근거한
제로 성취되지만 끊임없이 수정되어야 것이다. 때로는 사람들이 알고 있는 자
하는, 사회적 현실 안에 있는 자기의 실 신의 모습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오해하
재에 대한 느낌이다. 고 있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므
다시 말해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는 자 로 정체성은 내가 나를 의식하는 부분에
신의 생각을 정체성이라고 한다. 자신의 서 생기는 것이며 만약 내가 자신에 대
가치관과 판단이 수시로 변하면 스스로 해 충분히 알지 못하거나 잘 모르고 있
의 결정에 자신이 없고 다른 사람이 나 는 부분이 있다면 나를 설명하기 위해
를 어떻게 보는가에 신경을 많이 빼앗기 정체성을 넘어서는 다른 무엇인가가 필
74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