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60
PARTⅡ ESG 경영의 본질, 현황, 그리고 미래
ESG를 구성하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는
사람이 존재하는 생태계, 살아가는 공간, 일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ESG 경영을 설명하는 지속가능성은
HRD의 본질인 사람다움과 일치한다.
나, 기존 구성원들이 ESG 교육에 참여 을 아우른다. 작금의 시대는 팬데믹으로
하도록 하거나, 내부 ESG 역량강화를 사회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고, 생태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활 의 건강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
동 등이 대표적이다. 단기성 캠페인을 지고 있으며, 기업의 올바른 역할 정립
통해 내부 구성원의 인식 제고를 도모하 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럴수록 중요해진
는 것도 효과적이다. 것이 사람다움이다.
재무적, 비재무적 요소를 떠나서 기업을
HRD를 통한 사람다움 실현 이루는 기본 단위는 사람이다. 사람으로
한국HRD협회와 『월간HRD』는 매년 대 인해 기업이 성과를 창출하거나, 실패를
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회인 「HRD 맛보기도 하는 것이다. ESG 경영을 지
KOREA」를 개최한다. ESG 경영은 올해 속가능성이라고 표현하지만, 이러한 지
개최될 「HRD KOREA」의 주제이기도 속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은 일을 하는 사
하다. ‘인간’, ‘가치’, ‘미래’, ‘행복’이 중 람이며, 사람의 역량을 진단하고 계발하
심이 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휴머니 는 이들이 바로 HRD 담당자들이다. 그
티, 우리말로는 사람다움을 관통하고 있 러니 ESG 경영이 갈수록 부각되고, 관
기 때문이다. 사람다움은 ‘사람이란 무엇 련 전문가가 부족할수록 HRD 담당자들
인가?’, ‘사람이란 어떠해야 하는가?’라 이 개인과 조직개발을 더욱 촉진해야 한
는 질문을 바탕으로 사람이 가지는 본질 다.
[참고 자료]
KCGS Report 11권 6호, 한국기업지배구조원(2021)
ESG 경영의 대두와 융합의 현장, 이종재, 한국융합경영학회(2021)
기업책임경영(RBC)과 ESG 관리를 통한 새로운 형태의 클레임 대응: 이니셔티브를 중심으로, 조인호, 한국무
역상무학회(2021)
AUGUST HRD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