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58

PARTⅡ ESG 경영의 본질, 현황, 그리고 미래





                     져야 한다.                             마인드셋을 지녀야 하며, 구체적으로 어
                                                        떤 역할을 해내야 하는가.
                     ESG 경영의 실효성을 좌우하는 KPI              첫째로,  ESG라는  개념과  그에  따른
                     기업이 경영환경에서 생존하려면 성과                ESG 경영의 본질을 이해해야 한다. 맥
                     를 내야 한다. 그래야만 지속적인 투자              락을 파악해야 한다는 뜻이다. ESG 경
                     가 이뤄질 뿐 아니라, 사업의 확장과 뛰             영은 CSR의 확장이 아니며, 규제나 컴
                     어난 인재 채용과 육성이 가능하다. 그              플라이언스도 아니다. 경영전략이다. 그
                     런 점에서 ESG 경영의 실효성을 높이              래서 ESG 개념이 언제, 무슨 원인에 의
                     기 위해 임원들과 책임자들에게 KPI를              해 생겨났고, 어떠한 사건들로 인해 강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조되고 있으며, 국내외를 막론하고 CEO
                     관련해서 서현정 ERM코리아 대표에 따              를 비롯한 임원들이 왜 관심을 기울이고
                     르면 CEO의 연봉을 책정할 때 탄소 배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그래야만 ESG위
                     출량을 얼마나 줄였는지, 비즈니스를 전              원회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HRD 담
                     개 과정에서 발생한 리스크의 사후 처               당자들은 ESG위원회 구성원들에게 맞
                     리는 어떻게 했는지 등을 평가해서 ESG             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기 때
                     경영 실적에 반영하고, 그로 인해 산정              문이다.
                     된 연봉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둘째로, 송세련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
                     기업은 이미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학원 교수가 강조한 것처럼 ESG는 결
                     있다. KPI와 관련해선 올해 초 한국딜             국 사람에 대한 이슈라는 것을 명심해
                     로이트그룹이 DJSI, MSCI, 한국기업지           야 한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는 사람
                     배구조원 등 국내외 주요 비재무 평가의              이 존재하는 생태계, 살아가는 공간, 일
                     종합분석을 통해 도출한 ‘산업별 전략적              하는 방식이다. 사람은 환경과 사회와
                     ESG 경영 이슈’나 지속가능성 회계 기준            영향을 주고받으며, 지배구조는 다양성
                     위원회(SASB)에서 제시한 ‘77개 산업별           과 포용성 중심의 투명한 사회로 나아가
                     중대 ESG 이슈’를 참조하면 유익하다.             는 데 중요한 요소다. 그래서 소통과 대
                                                        화의 필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
                     ESG 시대의 HRD                        다. HRD 담당자들의 활동은 ESG 경영
                     기업  HR   부서의  구성원은  인사             의 중심에 있다.
                     (selection), 급여(compensation), 인력개  셋째로,  조직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발(development), 인력유지(retention) 부  ESG에 대한 이해가 이뤄졌다면 그에 기
                     문에서 각자 맡은 업무를 수행하며, 그              반해서 조직의 역량을 분석해서 전문 인
                     중 HRD 담당자들은 인력개발에 주력               력이 누구인지 구분하고, 현재 부족하거
                     한다. 그렇다면 ESG 경영이라는 새로운             나 향후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 확인
                     패러다임을 맞아 HRD 담당자들은 어떤              해야 한다. 외부에서 전문가를 영입하거


                                                                          AUGUST HRD  55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