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55
SPECIAL REPORT ESG 시대의 HRD
부여하고 있으며, ESG 부문별 득점률을
가점 또는 감점해서 개별 기업의 ESG
관리 체계 및 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둘째로, 평가방식은 MSCI는 E와 S 영
역에서는 업종별 특성이 반영된 위험·
기회 요인에 대한 노출점수 및 관리점수
를 부여하고, G 부문에서는 전 사업 공
통 평가 요소를 활용해서 10점을 기준으
로 평가점수를 차감한다. FTSE Russell
은 테마별로 5개에서 58개에 달하는 항
▲ 초유의 팬데믹을 통해 지구촌에는 인간과 자연과의 공존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목을 토대로 득점률을 계산하며, 점수
산출 과정 전반에서 각 테마의 노출도를
이 있는데 설문을 바탕으로 평가데이터 고려한다. Refinitiv는 평가항목별 백분
를 수집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ESG 전 위 점수를 도출한다. 한국기업지배구조
문 분석기관으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원은 ESG 부문별 기업분류에 따라 적용
대신경제연구소, 서스틴베스트가 있고, 되는 평가문항이 상이하며, 기본평가로
데이터사업자로 지속가능발전소(Who's 서 기업의 ESG 관리 체계 및 성과에 대
Good)가 있는데 모두 평가데이터 수집 해 점수를 부여하고, 심화평가로 부정적
방법이 공개정보기반이다. 이슈가 확인되면 감점한다.
그중에서도 MSCI, FTSE Russell, 셋째로, ESG 프레임워크 구성 요소는
Refinitiv,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독자적 MSCI는 E에서 기후변화, 자연자본, 오
으로 ESG 평가방법론을 개발해서 ESG 염 및 폐기물, 환경적 기회, S에서 인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래서 평가체 자본, 제품 책임, 이해관계자 반대, 사회
계가 어떻게 다른지 파악해볼 필요가 있 적 기회, G에서 기업지배구조, 기업행위
다. 데이터가 방대하기 때문에 평가특이 가 있다. FTSE Russell은 E에서 생물다
점, 평가방식, ESG 프레임워크를 구성 양성, 기후변화, 오염 및 자원, S에서 공
하는 여러 요소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다 급망, 물 안보, 고객 책임, 안전보건, 인
음과 같다. 권 및 지역사회, 노동 기준 공급망이, G
첫째로, 평가특이점은 언급된 순으로 각 에서 반부패, 기업지배구조, 위험관리,
각 위험 및 기회 요인에 의거해서 노출 세금 투명성이 있다. Refinitiv는 E에서
및 관리 수준을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 자원이용·배출·혁신, S에서 근로자,
으며, 운영상의 위험 요인에 따라 관리 인권, 지역사회, 제품 책임이, G에서 경
수준을 평가하고 있고, 동종 기업 간의 영, 주주, CSR 전략이 있다. 한국기업지
ESG 성과 순위에 따라 백분위 점수를 배구조원은 E에서 환경경영, 환경성과,
52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