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52

PARTⅡ ESG 경영의 본질, 현황, 그리고 미래








                                     팬데믹 이후 확대된 지속가능성에 대한

                                      여러 국제기관과 투자자들의 관심은
                                        ESG를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하도록 만들었다.






                     경영환경의 새로운 패러다임                     지엽적인 활동을 넘어 기업, 사회, 국가,

                     ESG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의 첫 글자            세계의 생존을 위한 차원에서 ESG 경영
                     를 결합해서 만들어진 단어다. 각각의               이 강조되고 있다. 그래서 기업은 경영
                     영역을 보면 환경에서는 기후변화, 탄소              전략의 중심축을 ESG에 두고 있는 것이
                     배출, 자원 및 폐기물 관리를 떠올리면              다.
                     될 것이다. 사회는 고객 경험과 만족, 이
                     해관계자들의 인권 보호, 다양성과 포               지속가능성과 ESG
                     용성 존중, 사회적 가치 실현 등이 해당             ESG는 기업이 재무적·비재무적으로
                     된다. 지배구조는 윤리경영이 대표적이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메시지다. 지속가
                     다. 각종 매스컴에서 소개된 것과 같이              능보고서에 대한 국제적 가이드라인을
                     우리나라 기업은 올해를 ESG 경영 실행             제시하는 기구인 GRI(Global Reporting
                     의 원년으로 삼고자 CEO의 강력한 의              Initiative)는 경제, 환경, 사회 분야의 여
                     지를 널리 알리고, ESG를 주요 소재로             러 주제와 지표를 명시하도록 하고 있
                     삼아 다양한 이미지 광고를 내보내고 있              다. UN(United Nations)의 경우 지난
                     으며, 관련 전문가들을 모아 컨퍼런스,              2015년에 제시했던 SDGs(Sustainable
                     포럼,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사실 기             Development Goals)에서 ESG를 구체적
                     업들은 예전부터 사회적 책임을 뜻하는               으로 담아냈으며, 2030년까지 반드시 실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천해야 하는 과제로 17개를 소개했다.
                     비롯해서 가치 중심 기업가정신을 말하               간략하게 정리하면 빈곤퇴치, 기아 종
                     는 CSV(Creating Shared Value), 지속가  식, 건강과 웰빙, 양질의 교육, 성평등,
                     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윤  깨끗한 물과 위생, 모두를 위한 깨끗한
                     리·인권경영 등을 추진하고 있었다. 그              에너지,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산
                     러나 언급한 개념은 다소 사회공헌의 성              업·혁신·사회기반 시설, 지속가능한
                     향을 갖고 있었다. 이제는 일시적이고,              도시와 공동체, 불평등 해소, 지속가능


                                                                          AUGUST HRD  49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