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49
SPECIAL REPORT ESG 시대의 HRD
열풍이라고 불릴 정도로 기업들이 ESG 아닌 여러 요소에서 손실을 줄이는 것도
를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분명한 재무적 성과다. 따라서 ESG는
팬데믹이 촉매가 됐다고 봐야 한다. 오 기업이 태동, 성장, 발전한 역사와 함께
프라인 비즈니스가 정지하면서 전 세계 한다. 그래서 저는 ESG를 기업의 가치
국가와 기업이 락다운(lockdown)에 걸리 를 보는 새로운 렌즈라고 설명한다.
지 않았나. 생존을 위해 치열한 고민을 동향을 말씀드리면 E(환경), S(사회),
거치는 과정에서 불확실성이 얼마나 두 G(지배구조) 각각의 영역에서 우수한 모
려운 것인지 깨닫고, 회복탄력성, 리바 습을 보이는 기업은 있지만, ESG 경영
운드, 지속가능성 등에 눈을 뜨게 된 것 을 완벽하게 구현하는 기업은 없다고 봐
이다. 물론 매스컴에서 알려진 바와 같 야 한다. 테슬라의 경우 공장 노조, 구글
이 올해가 파리기후협약 시행 원년이고, 은 사이버 보안이라는 이슈로 인해 S 측
팬데믹 이후 블랙록을 위시로 많은 투자 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
사가 ESG를 투자의 기준으로 삼겠다고 다. 다논은 CEO가 ESG 경영을 엄청나
선언한 것도 이유다. 국제적인 흐름이 게 지원했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
ESG를 중심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지 않아서 이사회에서 비중을 줄였다.
우리나라 기업도 그에 맞춰서 ESG 경영 우리나라 기업은 ‘RE100(기업이 사용하
을 추진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
겠다는 캠페인)을 달성하겠다’, ‘ESG 경
ESG 시장의 역사와 기업과 인재 중심 영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 ‘ESG를 경
동향은 어떠한가. 영의 아젠다로 삼겠다’라고 선언하며 실
ESG라는 키워드에 국한되지 말고, 인 행 방법을 고민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짜
더스트리 자체의 본질과 흐름을 이해하 고 있는 단계다. 올해 초에는 ESG 경영
면 쉽다. 글로벌 기업이 해외 시장을 개 을 CSR 부서에서 하는 지엽적 활동이나
척하기 위해 투자하고, 공장을 설립해서 컴플라이언스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
운영하려고 하면 국제금융공사(IFC)는 지만 지금은 다르다. E, S, G 분야에서
저개발국의 원주민 권리와 아동의 인권 전문가들을 초청해서 포럼을 열고, 자
보호를 비롯해 공장 시설의 안전관리와 체적인 교육도 거치면서 기본적인 학습
작업인들의 생명보호를 각별히 강조한 은 이뤄진 상태다. 한 번 불이 붙고 꺼질
다. 또한, 공장이 지속해서 운영되든, 철 이슈는 아닌 만큼 국내외 모든 기업에서
수하든 수시로 환경평가와 작업자들의 ESG 전문가들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
역량평가가 이뤄지며, 사고가 발생할 경 지만, 아쉽게도 인력이 부족하다. 정확
우 투자한 기업의 CEO는 중대재해처벌 하게는 ESG 경영에 특화된 경력을 갖추
법의 대상이 된다. ESG를 이루는 개념 고 있는 사람들이 소수에 불과하다. 대
이 모두 들어가 있다. 돈을 버는 것만이 부분의 기업이 다른 업무를 수행하던 사
46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