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47

SPECIAL REPORT      ESG 시대의 HRD





                 평가시스템 구축이나 ESG 금융상품(채              지는 않다. 그렇다고 해도 정성적 지표
                 권/여신 등) 인증 등에 대한 수요가 대폭            를 우선 적용함으로써 ESG 지표의 통합
                 확대됐다. 올해 3월에는 112개 금융기관            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기업도
                 이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            단계적인 개선을 통해 접근하는 방법을
                 한 기후 금융지지 선언에 참여하기도 했              도입해야 할 것이다.
                 다. 결코 국제적 수준에 뒤지지 않는다.
                                                    상세한 제언에 감사드린다. 그렇다면
                 앞으로 ESG 경영의 지향점은 무엇인지              향후 HR 부서와 실무자들의 과제는 무
                 제언해달라.                             엇인가.
                 ESG 경영은 정량적 지표를 통해 객관              첫째로 ESG 경영을 이해해서 ESG위
                 화하기 어렵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온실              원회의 활동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향
                 가스 및 환경유해 물질 배출 감축량, 재             후 ESG위원회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
                 생에너지 소비량 및 재활용률 등 정량적              이며 경영진의 성과, 보상, 역량개발 등
                 측정이 가능한 성과지표를 적용할 수 있              에 ESG를 연동하는 방안이 고려될 가
                 는 여지가 있지만, 사회와 거버넌스 측              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둘째로 HR 부서
                 면에서는 성과와의 명확한 인과관계 파               가 다국적 기업 유니레버나 덴마크의 에
                 악부터 정량적 지표 설정이 어렵다. 핵              너지공기업 오스테드 등은 물론 국내 기
                 심성과지표(KPI)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업의 우수한 ESG 경영 사례를 벤치마킹
                 있도록 올해 초에 딜로이트가 조사한 미              해서 기업의 핵심 ESG 성과지표를 선
                 국포춘(Fortune) 100대 기업의 경영진          정하고, 평가방식을 설계하는 것에 적극
                 성과지표를 말씀드리면, 환경 부문의 경              적으로 관여해야 한다. 셋째로 인력개발
                 우 이산화탄소 배출, 폐기물전환, 탄소              이다. 환경과 기후 분야의 전문가들은
                 집약도, 연료효율, 녹색자금조달, 플라              ESG 경영의 수준과 방향을 짚어질 수
                 스틱사용, 유해폐기물 배출, 재생에너지              있는 소수만 있으면 된다. 핵심은 ESG
                 소비, 재활용 등과 관련된 지표를 채택              경영을  실천하는  실무자들을  채용이
                 하고 있었다. 사회 부문의 경우 임직원              나 육성을 통해서 다수 확보해야 한다.
                 교육/개발, 여성리더십, 지역사회활동,              ESG는 앞으로 기업의 다수를 이루게 될
                 사고발생률, 다양성/포용성 개선, 인종              MZ세대의 가치관과도 궤를 같이한다.
                 다양성, 협력사 정책 등과 관련된 지표              그런 차원에서 HR 부서가 ESG 경영 활
                 를, 거버넌스 부문은 규제준수, 내부통              성화의 튼튼한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제, 위기관리, 리스크 관리전략, 사이버/            이를 위해 ESG 경영을 KPI 및 보상체계
                 데이터보안, 행동규범 및 고충처리정책,              와 연동하는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어
                 윤리교육 등의 지표를 적용하고 있었다.              떤 조직에서든 성과와 연계돼야 구성원
                 비록 이들 기업도 초기 단계여서 완전하              이 생각과 행동을 바꾸기 마련이다.


                 44  HRD MAGAZINE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