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46

PARTⅠ ESG 경영 실현을 위한 제언





                     한국딜로이트그룹 ESG센터에 관한 소               델 개발 등 포트폴리오 재편과 이를 통
                     개 부탁드린다.                           한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딜로이트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              고민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행 단계에서
                     표로 설정한 소셜 임팩트 프로젝트 ‘월드             는 리스크와 성과관리, 조직개편 및 임
                     클라이밋’을 런칭하고, 네트워크 기반 목             직원 역량강화, 외부와의 커뮤니케이
                     표 달성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특히 올             션 등 세부 과제와 실행 위주의 추진 방
                     해부터는 연례적으로 발표해 오던 ‘딜로              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그 가
                     이트 임팩트 리포트’에 ESG 섹터를 추가            운데 ESG센터는 ESG 경영의 현황 진
                     함으로써 ESG를 중요한 경영이념으로               단 및 심층 갭 분석을 통해 전략과 관리
                     천명했다. 그간 ‘월드클래스’로 추진해왔             체계를 설계하고, 세부 실행계획과 관리
                     던 아동 및 청년, 여성 대상 교육 부문과            방안 수립에 대해 원스톱(one-stop) 통
                     ‘ALL IN’이라는 이름으로 추진해 온 다           합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양성과 포용성 측면에서의 사회적 책임
                     실천에 이어 기후 위기라는 인류 공동의              우리나라 기업의 ESG 경영 추진의 동
                     숙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선도              향은 어떤지 진단 부탁드린다.
                     하고자 한다. 한국딜로이트그룹은 작년               최근 1년-2년 사이 국내 기업은 경영진
                     11월부터 준비해서 올해 3월 2일 ESG센           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ESG 경영을 선포
                     터를 설립했다. ESG센터는 딜로이트 내             하고 있으며,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각 사업본부와 연계해서 기업들이 ESG              설립하고 있다. 이에 맞춰 ESG 전담조
                     경영을 잘 실천하도록 사업본부 간 협업              직도 만들어지고 있다. 초기 단계인 만
                     을 통해 End-to-End 컨설팅 서비스가           큼 자금력과 니즈를 갖춘 대기업이 주도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하고 있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중견기
                                                        업 CEO들의 아젠다로 급부상했고 관련
                     현재 기업들은 ESG 경영과 관련해서               해서 컨설팅 문의가 폭증하고 있다. 짧
                     어떤 고민거리를 갖고 있는가.                   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대기업과 일부
                     대체로 기업의 목적과 비전에서 ESG 경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에서 사용하
                     영이 무엇을 의미하고, 왜 ESG 경영을             는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전
                     추진해야 하는지, 그 과정에서 이해관계              환하는 ‘RE100’을 선언한 것이나 배출량
                     자는 누구이며, 어떤 사회적 가치를 창              을 제로(0)化하는 ‘탄소중립’보다 한발 더
                     출할 것인지, ESG 경영을 통해 기업은             나아간 ‘탄소네거티브’를 선언하고, ESG
                     어떤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지 질문               전담조직을 마련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
                     을 던지고 있다. 이후에는 전략적 차원              면 놀라울 따름이다. 특히 금융권에서는
                     에서 단·중·장기적 목표수립, 비즈니               책임투자 및 임팩트 투자 등으로 대표되
                     스와의 통합과 연계, 신규 비즈니스 모              는 지속가능금융이 중요해지면서 자체


                                                                          AUGUST HRD  4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