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43
SPECIAL REPORT ESG 시대의 HRD
ESG 경영의 트렌드는 어떻게 되는가. 를 없애고 궁극적으로 건강한 노동생태
ESG는 지난 2004년 코피 아난(Kofi Atta 계와 경영환경을 조성하자는 뜻이다. 마
Annan) 전 UN 사무총장이 ‘Who Cares 지막으로 S(사회)는 인권이다. ESG 경
Wins’라는 리포트에서 처음 언급하며 널 영이 중심을 둬야 하는 부분이다. 지금
리 쓰이기 시작했다. 주요 내용은 지구 까지 말로만 인권경영을 강조해온 기업
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자산 소유자들의 이 많지만, 이제는 실천해야 한다. ESG
올바른 역할 촉구다. 이후 글로벌 금융 경영은 규제나 자율로 접근하면 지속가
위기와 지구온난화와 같은 거대한 이슈 능성이 요원하다. 기업과 사람의 생각과
가 발생하면서 ESG의 중요성은 꾸준히 태도 하나하나가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
커졌다. 그 과정에서 작년에 팬데믹이 칠 것인지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
창궐했고, 글로벌 투자 관리 회사인 블 미 영국, 프랑스, 독일을 필두로 유럽은
랙록(BlockRock)의 래리 핑크(Lawrence 기업실사와 인권실사를 의무화했다. 사
Douglas Fink) 회장이 전 세계 CEO들에 실 ESG는 인권 하나로도 설명이 가능
게 ‘앞으로 ESG를 투자 결정의 핵심으로 하다. 우리나라 역시 국가인권위원회와
삼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면서 관심 법무부에서 기업의 인권경영 확산에 집
이 증폭됐다. ESG 펀드도 상당히 많이 중하고 있다.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하
만들어졌다. 정리하면 이제 기업은 이윤 는 ‘기업 인권경영 지침’을 만들었고, 올
창출을 통해 주주 가치 극대화를 추구하 해와 내년에 확산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
는 동시에 이해관계자들과 환경을 각별 다.
하게 고려해야 한다. 시대의 변화에 맞
게 기업의 역할이 달라졌다고 보면 될 많은 기업이 ESG 경영을 실행하기 위
것이다. 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
ESG 개념의 본질에 관해 짚어달라. 인가.
ESG(Environmental, Social and 2013년부터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
Governance)를 구성하는 단어에 맞춰 이 성과도 좋다는 연구들이 꾸준히 나오
개념을 살펴보면 첫째로 E(환경)는 기 고 있다. 그래서 많은 투자사가 ESG 경
후 변화를 다룬다. UN에 가입한 195개 영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UN
국 모두에 구속력이 있는 기후합의인 파 과 모건 스탠리를 비롯해서 공신력이 높
리기후변화협약이 대표적이다. 다음으 은 조직의 ESG 경영에 대한 평가 기준
로 G(지배구조)는 법과 명령 등을 준수 은 있다. 그러나 기관별로 독자적인 평
하는 행위를 뜻하는 단어인 컴플라이언 가 기준을 가지고 있어서 헷갈릴 때가
스(compliance)를 떠올리면 된다. 투명 많다. 따라서 탄소 중립이나 환경에 대
한 지배구조를 갖춰서 기업의 부정부패 한 관심과 투자에 집중해야 효과적이며,
40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