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40

PARTⅠ ESG 경영 실현을 위한 제언





                     최근 들어 ESG 경영이 확산되는 이유              대상은 약 1,000여 회사이며, 설명회를
                     는 무엇인가.                            통해 평가 모형, 항목, 등급 부여 방식
                     지난 2007년에서 2008년에 걸쳐 전 세           등은 모두 공개한다. 평가가 종료되면
                     계로 파급된 금융 위기로 인해 경제와               우수 기업을 시상하고 평가의 결과에 관
                     사회의 양극화가 심해졌다. 사실 금융               한 설명회를 개최하며 이후 특정 기업에
                     위기가 아니더라도 계층 간에 발생하는               서 ESG 관련 이슈가 발생하면 분기별로
                     소득 불평등 문제는 기업으로 인해 발생              위원회를 열어서 그 기업의 등급을 조정
                     한 면이 크다. 게다가 산업혁명에 따른              하는 과정도 거친다. 최근에는 ESG 경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지구온난화                영을 향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평가에 대
                     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래서 수많은              한 문의가 급증하고 있으며, 평가를 요
                     투자사가 기업에 ESG 경영을 요구하고              청하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있다. 지구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 활동해야 한다는 메시               우리나라 기업의 ESG 경영 추진의 속
                     지다. 팬데믹은 말씀드린 변화를 가속화              도와 수준은 어떠한가. 아울러 ESG 경
                     한 기제일 뿐이다. ESG(Environmental,      영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 있다면 소
                     Social and Governance)를 구성하는 세     개해달라.
                     가지 키워드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다.             ESG라는 개념 자체를 이해하고, 이를
                     기업이 존재하고, 그 기업을 구성하는               어떻게 경영전략에 반영해야 하는지 고
                     사람들이 살아가고, 일하고 관계를 맺               민하는 단계라고 보면 적절할 것이다.
                     는 방식 그 자체다. 즉, 지속가능성인 것            2021년이 시작되면서 많은 CEO가 경영
                     이다. 이제 일시적으로 손해를 보더라도              계획을 설명할 때 ESG를 언급했고, 이
                     멀리 보면서 원대한 목적과 가치 중심               후로 ESG위원회와 전담 조직을 만들고
                     경영전략을 세우고, 그와 연계해서 활동              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ESG 경영을
                     하지 않는 기업은 고객, 이해관계자, 투             시작하겠다는 뜻이다. 또한, 기업마다
                     자사들의 외면을 받을 것이다.                   수행하는 비즈니스 분야뿐만 아니라 목
                                                        적과 철학이 다르다. 이는 ESG 경영을
                     ESG 경영이 강조되는 가운데 한국기               실행하는 방식도 다르다는 뜻이다. 그래
                     업지배구조원은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               서 국내외 기업 간의 ESG 경영 수준을
                     가.                                 비교하는 일은 무의미하며, 하나의 흐름
                     특별히 달라진 것은 없다. 2002년 설립            으로 봐야 한다. 물론 모범적인 기업들
                     이후 기업지배구조 평가를 시작으로 현               은 있다. 유니레버, 바클레이즈, JP모건
                     재까지 꾸준하게 자체 개발한 모형을 적              등이 있으며, 자동차 회사와 석유회사
                     용해서 기업의 ESG 경영을 평가하고 있             도 ESG 중심으로 빠르게 조직을 혁신하
                     으며, 관련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평가             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와 신재생에너지


                                                                          AUGUST HRD  37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