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38
PARTⅠ ESG 경영 실현을 위한 제언
비즈니스가 ESG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가운데
HRD 부서는 ESG 경영이 무엇이며,
개념의 본질과 맥락은 어떻게 되고, 관련해서
어떤 역할을 해내야 하는지 분석해야 한다.
본지는 4인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우 우리나라 기업의 ESG위원회나 전담 조
리나라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이해 직의 실효성과 중요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ESG 개념의 본질과 맥락, 실행을 위 는 어떤 마인드셋이 필요하고, 그 과정
한 준비와 수준, HR 부서와 실무자들의 에서 HRD 부서와 실무자들은 어떤 역
역할 등을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4인 할을 해내야 하는지 설명했다. 이어서
의 전문가는 각각 우리나라 기업의 지배 백인규 한국딜로이트그룹 ESG센터장은
구조를 연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ESG 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목적·
인권을 분석하며, 회계법인의 입장에서 비전·성과 중심 점진적 개선’이 필요하
ESG 관련 국내외 경영 패러다임 변화를 다고 설명했다. 그는 ESG 경영과 관련
진단하고, 오랜 기간 ESG에 집중해서 해서 기업들의 주요 고민거리는 무엇이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래 고, ESG 경영 추진의 동향과 지향점은
서 이들의 제언은 특별했다. 어떻게 되는지 설명했다. 그리고 서현정
먼저 신진영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원장 ERM코리아 대표는 ‘ESG는 기업의 가
은 ‘ESG는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기 치를 보는 새로운 기준이자 렌즈’라고 강
업의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조했다. 서 대표는 전략과 통합 기반 전
EGS 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뜻 사적 역량을 바탕으로 ESG 경영을 추
하는 CSR과는 다르며, 일시적 구호를 진해야 하며, 이를 위해 HR 실무자들은
넘어 리더십 재정립과 ESG 경영 수준 자신들이 ESG의 S를 실행하는 부서임
과 속도에 대한 철저한 진단, 평가, 개 을 명심하고, 채용보다는 육성에 비중을
선점 도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다음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메시지는
으로 송세련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 다음에서 상세하게 정리했으니, HRD
원 교수는 ‘ESG 경영의 핵심은 인권’이 담당자들이 향후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
라고 진단했다. 그는 E, S, G를 구분해 하는 HRD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서 ESG의 본질을 상세하게 짚어줬으며, 되길 희망한다.
AUGUST HRD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