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33
ISSUE
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도 주어진 업무
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차원
에서 만들어졌다. 출퇴근에만 약 3시간
이 넘게 걸리는 직장인들에게 유연근무
제는 생산성을 유지하는 기제와도 같다.
원치 않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
서 MZ세대와 기업의 리더는 매우 큰 스
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럴수록 리더
는 리더십과 감수성을 더욱 계발해야 하
며, 자기관리에 있어서 모범이 돼야 하
고, 각별한 배려와 존중을 보여줘야 하
▲ 재택근무가 확산되며 리더들은 MZ세대와의 소통력을 바탕
으로 성과를 내야 하는 상황이다. 며, 적절한 멘토이자 해결사로서 MZ세
대와 소통해야 한다.
큼 크며, 기업의 리더들은 자신이 얼마
나 노력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 경계를 허무는 경력·역량개발의 기회
어요.” 부여
구 교수의 제언 외에도 기업의 리더는 갈수록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기업의 신
유연근무제도가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 입사원 분포도도 변화하고 있다. 대체적
에 더욱 MZ세대와 소통하기 위한 노력 으로 학교를 마치고 바로 취업한 신입사
을 기울여야 한다. 유연근무제도는 근 원들, 인턴 경력을 바탕으로 입사한 신
로하는 시간이나 장소와 관련된 조건에 입사원들, 다른 직장에서 일하면서 새롭
서 유연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목적 게 합류한 신입사원들로 구성된다. 분포
은 일과 가정에서의 역할에 균형을 이뤄 만 보더라도 이미 사회생활을 경험한 이
서, 조직에서 성과를 창출하며 가정에서 들에게 기성세대와 같은 애사심을 기대
의 행복도 영위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 하기란 어렵다. 특히, 나날이 코로나19
에 따라 우리나라는 고용노동부 차원에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고, 개인의 건
서 지난 2017년 ‘체계적인 유연근무제 강이 최선으로 자리한 상황에서는 더욱
도입·운영을 위한 매뉴얼’을 만들었다. 그렇다.
내용을 보면 근무시간 영역에서는 시차 MZ세대는 다양한 연구자들에게서 공통
출퇴근제, 선택근무제, 재량근무제를 만 적으로 강조된 것처럼 기회를 갈구한다.
들었고, 근무장소와 관련해서는 원격근 예를 들어 MZ세대는 취업이 어렵다고
무제와 재택근무제가 있다. 주당 40시간 해도, 누군가가 취업을 시켜주길 바라지
근무를 준수하면서 출퇴근에 따른 시간, 않는다. 면접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비용, 에너지 손실 없이 일하고, 팬데믹 어떤 역량을 갖고 있는지, 이 회사에서
30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