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28
고 있다. 포럼에서는 NCS가 ESG와 디
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이슈인 경영환
경을 관통하는 개념이라는 점이 논의됐
다. 실제 NCS는 능력 중심 사회를 만
들기 위해 개발됐으며, 다양성과 포용
성 및 공정성이라는 가치를 내재하고 있
다. 특히 MZ세대는 기업과 사회를 향
해 실력에 따라 공정하고 합당한 대우를
받는 환경을 조성해주길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NCS는 기업이 성과를 창출하
는 과정에 있어서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
(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
(Governance)를 뜻하는 ESG와도 방향성
을 같이 한다. NCS의 직업기초능력 영 ▲ ESG가 강조되는 경영환경, NCS, 그리고 HRD는 다양성, 포
용성, 공정성을 골자로 능력 중심 사회로의 전환이라는 같은
역에는 근로윤리와 공동체윤리를 아우 지향점을 갖고 있다.
르는 직업윤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
다. 따라서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컨설팅 이를 위해서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춰서
주체 역량강화, 기업 맞춤형 컨설팅 제 양질의 일자리를 구해야 하며, 직장인
공, 사후관리 내실화, 우수 고객 확보를 이 됐다고 해도 꾸준하게 역량을 발전시
골자로 공단의 NCS 사업을 발전시킬 계 켜야 한다. 작금의 시대는 평생능력개
획이며, 한국HRD협회는 빅데이터, AI, 발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국가와 기업의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을 활용해서 기업 성장과 발전을 이끄는 것은 결국 사람이
이 지금보다 더욱 빠르게 역량개발체계 다. 미래를 가늠하기 어려울수록 사람의
를 재정비하도록 컨설팅하고자 하며, 그 역량은 더욱 중요하다. 그런 만큼 국가
에 맞춰 다양한 콘텐츠와 커리큘럼을 개 와 기업의 역량개발을 도모하는 NCS와
발할 예정이다. HRD는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
사람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희망한다. 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
[참고 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 포털사이트, www.ncs.go.kr(2021)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박소연, 윤천성, 한국평생교육리더
십학회(2020)
델파이 조사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전문가의 역할 및 역량 탐색, 김연경, 송해덕, 이지현, 한국인
력개발학회(2015)
AUGUST HRD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