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27
ISSUE
HRD 부서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HRD의 핵심은 실효성입니다. 아는 만
프로세스와 매우 유사하다. 그래서 양 큼 넓고 깊게 볼 수 있으며, 그래야만 전
교수는 다음의 설명을 통해 HRD 담당 략적 HRD 구현이 가능합니다.”
자들이 NCS를 업무에 활용해야 한다고 실제 국내 대기업들 사이에는 표면화되
강조했다. 지 않았을 뿐, HRD를 비롯해 다양한 부
“HRD 담당자들은 온라인으로든, 오프 서의 실무자들 간의 이동이 잦은 편이
라인으로든 NCS 자료를 옆에 두고 업무 다. 이런 경우 기업 고유의 미션, 비전,
를 수행할 때마다 참조하면 매우 좋습니 핵심가치를 비롯해 일하는 방식을 익히
다. 역량모델링 업무를 예로 들면 NCS 고 조직문화에 적응해야 하지만 큰 틀
를 활용할 경우 준비작업, 강사 섭외 및 에서의 업무는 크게 바뀌지 않는다. 그
관리, 워크샵을 통한 실제 교육, 평가 작 래서 NCS를 활용하면 새롭게 습득해야
업에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하는 부분이 줄어든다. 이는 기업에 당
있습니다. 물론 HRD 담당자들이 NCS 연히 이득이다. 또한, NCS는 국가기록
를 사전에 학습해서, 소속된 기업의 경 인 만큼 데이터화된다. 이는 학습전이와
영전략에 맞게 변형해서 사용하는 역량 역량전이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그래
을 갖춰야 하겠죠. 이러한 강점이 있음 서 양 교수는 “HRD 담당자들은 데이터
에도 불구하고 HRD 담당자들의 관심이 를 중심으로 NCS의 강점은 무엇이고,
적습니다. 막연하게 어렵다고 느끼거나, 도입하면 시간과 비용을 어느 정도 절약
새로이 학습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 할 수 있으며, 기업에 얼마나 이익이 되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는지 수치화해서 보고할 수 있어야 합니
제는 마인드셋을 바꿔야 합니다. 과거 다.”라고 제언했다. 기업의 경영진은 거
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강조되는 전략적 시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올라오는 보고
서들을 검토하며 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 과정에서 당연히 수치화된 자료에 집
중할 수밖에 없으며, 이때 NCS는 HRD
담당자들과 부서의 경쟁력 향상에 큰 도
움을 줄 것이다.
데이터와 ESG 중심 NCS의 장기적 방
향성
한국HRD협회는 지난 6월부터 한국산
업인력공단과 협업해서 HRD와 NCS
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지혜를 모으고
▲ NCS는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데이터화되기 때문에 구 자 「NCS-HRD 융합포럼」을 개최하
체적인 성과 중심의 전략적 HRD 구현에도 효과적이다.
24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