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7
HRD의 대상은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 가정의 책임자.
HRD의 역할은 이들이 미래의 부메랑이 되지 않도록
인간으로서 먼저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게끔 노력해야...
의식을 침해했고, 내가 얻을 수 있는 무언가를 중히 여기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나의
이득을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남을 해치는 세태가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현재 돈 때문에 남을 속이고 돈 때문에 남을 죽이는 일까지 비일비재하며, 그 위험성이
도를 넘어섰습니다. 돈이라는 물질은 우리들 삶의 목적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수단에
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가치가 전도되어 모두들 돈에 미쳐 돌아가는 현실이 안타까
울 뿐입니다.
개인의 행복을 위해 경쟁하는 서구식의 개인주의는 이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
다. 그래서 인간 중심의 사고와 남을 배려하는 마음, 예절을 갖추는 자세, 나보다는 우
리라는 공동체 의식들을 되살려나가는 새로운 사회운동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저는 매년 대규모의 HRD 컨퍼런스를 주최하면서 항상 이점을 중시하여 휴머
니티 즉, ‘인간’, ‘가치’, ‘미래’, ‘행복’이 중심이 되는 사회 구현을 위해 적합한 주제를 선
정하고, 물음을 던지며, 답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HRD의 대상자들은 대부분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들이며, 가정을 이끄는 책임자들
에 해당합니다. HRD의 역할은 이들이 미래의 사회인, 직장인들의 부메랑이 되지 않도
록 인간으로서 먼저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
글 _ 엄준하 발행인
한국 HRD를 고민하고 연구하며 실천하는 선각자이다. HRD를 통한 사람중심경영과 사람 사는 세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인력개발학 박사로서 한국HRD협회 회장, 일생경영학교-나다움 이사장, 본지 발행인을
맡고 있다.
AUGUST HRD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