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61

NEWS






                 부전문가 등 총 18인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농협중앙회의 그룹 차원 ESG 추진 종합전
                 략의 수립·조정·자문 역할을 맡는다.
                 농협중앙회는 중앙회와 계열사 등 각 법인이 실시한 ESG 경영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
                 로 추진하기 위해 중앙회 내 전담조직을 신설해서 범농협 그룹 차원의 ESG 경영에 박
                 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구현을 위한 노력을 통해 농업인과 국민에게 신뢰
                 받는 ‘함께하는 100년 농협’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워크스마트 전격 도입

                                                   지난 7월 22일 교보생명은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스마트하게 일하는 조직문화를 조
                                                   성하기 위해 ‘교보 워크스마트’를 제정했
                                                   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평소 “디지털 전
                                                   환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직을 근본적으
                                                   로 변화시키고, 인지능력과 디지털 문해
                                                   력을 높이는 등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비전(Vision) 2025 선포식’에서   구성원을 중심에 두는 수평적 리더십을
                 독창적인 고객경험과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하고
                 있다. (사진 출처: 교보생명)                 갖춰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교보 워크스마트’에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교보생명 구성원이 직접 만든 ‘일하는 기준’이 반영됐다.
                 교보생명의 ‘일하는 기준’은 도전·효율·창의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조직문화를 활
                 성화하고자 제정됐다. 특히 조직, 커뮤니케이션 방식, 업무 프로세스 등 기업문화 전체
                 를 근본적으로 바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리더가 열린 마음으로 먼저 듣습니다 ▲상대방의 생각이 나보다 더 나
                 을 수 있습니다 ▲시도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실패입니다 ▲스스로 동기부여하고 주
                 도적으로 일합니다 ▲나의 부서보다 고객과 회사를 먼저 생각합니다 ▲동료와 가족에
                 게 떳떳하지 않은 일은 하지 않습니다 ▲회의실은 두려움 없이 얘기할 수 있는 곳입니
                 다 ▲고객의 작은 Pain Point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정확한 사실만을 제 때 보고
                 합니다 ▲정시 퇴근, 휴가는 눈치를 주지도 보지도 않습니다의 10가지 원칙으로 구성
                 돼 있다.
                 한편 교보생명은 워크스마트 제정에 앞서 지난해 7월부터 밀레니얼 세대 중심의 워킹
                 그룹을 운영하며 조직 내 소통 활성화 증진에도 집중하고 있다.


                 158  HRD MAGAZINE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