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1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51
HRD REVIEW
HRD는 변한다,
그러나 HRD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글_황영훈 한라인재개발원 책임매니저
원고 작성 요청을 받았을 때, 작년 5월의 첫째, 새롭게 등장한 교육방식의 향후
일이 떠올랐다. COVID-19가 전 세계 활용에 대한 논의다. 작년 상반기부터
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던 상황에서 민간 혁신적인 대기업을 중심으로 실시간 온
대기업의 HRD 변화 상황과 향후 조직 라인 학습과 e러닝의 활용을 극대화했으
운영 방향을 보고하게 됐고, “현대 HRD 며, 기대 이상의 효과를 보였다는 것이
역사에서 e러닝 등장 이후 가장 큰 변화 중론이다. 그렇다면 새로운 전달 방식의
가 예상된다.”는 문구와 함께 시작했다. 등장이 기존 집합교육을 완전히 대체할
1년이 훌쩍 지난 지금 저 말은 어느 정 수 있을까? 필자는 아니라고 본다. 팬데
도 현실이 된 것 같다. 긍정적인 점이라 믹 상황이 호전되면 교육과정별 학습요
면 현장에서는 아비규환의 혼란 속에서 소의 특성(인지/정의/심동 등), 적합한
도 유의미한 변화와 진보가 있었다는 것 교수방법, 학습자 특성(연령, 직군, 근무
이다. 지, 학습자 수), 기 개발 e러닝 콘텐츠 확
이러한 맥락에서 이번 『월간HRD』 7월 보 여부, 조직의 교육운영 방향과 보유
호에서는 HRD의 역사, 팬데믹 관련 자원 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이나 교과
HRD 현장의 실태와 미래 방향, 기업 인 목 단위로 최선의 전달매체와 교수방법
재개발을 위한 패러다임, 마인드셋, 제 을 매칭하는 재조정과 개선의 시간이 있
도 사례 등 현장과 연구 모두에 도움이 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시행착오
되는 훌륭한 글들이 수록되어 있어, 큰 과정에서 시범적으로 도입했던 새로운
울림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독자로 교수방법(예: 게이미피케이션 등)도 점
서, 그리고 HRD 연구자이자 현장의 담 진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당자로서 이번 호의 이슈와 관련하여 함 둘째, 비정형학습(무형식학습: Informal
께 생각할 거리를 공유하고자 한다. Learning)에 대한 새로운 지원 방향에 관
148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