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2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42
동이 필요하다.”라고 당부하며 강연을
마쳤다.
디지털 리터러시 중심 HRD의 미래
다음으로 강단에 오른 이진구 한국기술
교육대학교 HRD학과 교수는 “HRD 부
서는 실시간 비대면 교육, 집합교육, 동
영상 제작 및 활용 역량을 더욱 발전시
켜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 교수
는 시야를 넓혀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습, 조직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 공
▲ 송지훈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가 AHRD 컨퍼런스의 내
유를 활성화해서 하이브리드 교육, 블 용을 기반으로 글로벌 HRD의 동향을 설명하고 있다.
랜디드 러닝을 실현해야 한다고 제언했
다. 특히 그는 “우리나라 기업의 문화에
맞는 학습모델을 만들고 발전시키는 것
이 핵심이다.”라고 당부했다. 다음으로
그는 데이터를 활용한 성과 중심 학습모
델의 요체를 짚어줬다. 골자는 학습 전
이를 위한 교육을 설계하고 학습에 따
른 결과 측정의 기준을 바로세우는 것이
다. 이 교수는 “학습 이후의 액션플랜 설
립과 더불어 학습의 효과성 관련 유의미
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개선작
업을 해나가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이 ▲ 이진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 교수는 온택트 HRD로
의 전환과 함께 인재의 역량을 성과로 전환하려는 기업의 노
를 위한 도구는 모바일과 인공지능이며 력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HRD 부서는 언급한 매개체를 통해 학
습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 커리큘럼 이상의 HRD 포럼에서 참가자들은 새
을 추천받아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생태 롭게 부상하는 HR 트렌드와 함께 향후
계를 조성해야 한다. 아울러 이 교수는 HRD 부서가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
데이터 분석에 근거해서 학습 수준 진 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이번 HRD포럼
단, 솔루션 제공, 성과 평가라는 일련의 에서 펼쳐진 산업계와 학계의 전문가 강
활동이 모두 디지털 전환이며 이제는 중 연이 조직과 구성원의 변혁을 이끌어야
장기적 관심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는 HRD 부서가 미래를 향한 인사이
고 전했다. 트를 얻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AUGUST HRD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