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0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40
HR 패러다임 변화 진단
Special Speech를 맡은 천성현 포스코 기
업시민실 실장은 ‘HR 메가트렌드: 패러
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천 실장은 “2000년대 초부터 2010년대
까지 미국의 소통 중심 수평적 조직체계
확립, 리더십 역량 강화, 상시 성과 관리
시스템 구축은 현재 한국기업이 도모하
는 HRD 제도적 변화와 일치한다.”며 네
가지 HR 메가트렌드를 풀어냈다.
첫 번째로 천 실장은 세대교체에 따른
▲ 천성현 포스코 기업시민실 실장이 HR 메가트렌드를 소개하
인력구조 변화를 설명했다. 실제 기업에 고 있다.
서는 수평적 리더십 확대, MZ세대의 개
방적 마인드 확산, 워라밸과 성과의 동 과 연계해서 ESG 전문가를 확보·육성
시 추구가 이슈며 중간리더 육성 전략의 하는 동시에 조직의 미션과 행동에 ESG
개선 필요성이 증대됐다. 두 번째로 일 지표를 반영하는 노력을 견지해야 한다
의 변화 측면에서 천 실장은 “IT 기술의 고 제언했다.
발전으로 멀티플레이어 감독자 역할이
강화됐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이제 미래 인재의 역량과 리스킬링 & 업스
관리자들은 복합적인 업무처리 능력과 킬링
함께 기존 역량 모델링이 디지털 시대 다음으로 이찬 서울대학교 산업인력개
에 적합한지 진단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 발학 전공 교수는 다양한 기업 사례를
다. 세 번째로 천 실장은 저성장이 일상 기반으로 글로벌 HRD 트렌드를 분석했
화된 경영환경과 고용노동 규제가 심화 다. 이 교수는 “사람의 역량과 AI라는 기
됨에 따라 전략적인 사고력을 기반으로 술 결합을 중심으로 DT를 구현하고, 고
교육과 인사 제도의 실효성을 고민해야 객 경험을 증대하는 전략이 요구되고 있
하는 시기라고 짚어줬다. 네 번째로 그 다.”라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이 교수
는 디지털 HR 기능이 강화되면서 채용, 는 세계경제포럼의 future of jobs 보고서
교육, 조직 및 성과관리, 보상, 부서배치 에 기재되어 있는 2025 미래 핵심 역량
등에 활용될 HR 솔루션 이해 및 활용 능 을 소개했다. 주요 키워드는 분석적 사
력을 습득해야 한다고 밝혔다. 천 실장 고, 적극적 학습과 전략, 리더십과 사회
은 강연을 마치면서 HRD 부서는 지속 적 영향력, 디지털 운용능력, 디지털 기
가능경영을 위해 ESG위원회로 대표되 획 및 설계, 창의력이며 여기에 디지털
는 전담 조직을 설치하는 기업의 움직임 리터러시가 추가됐다. 먼저 이 교수는
AUGUST HRD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