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8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28
역량모델링의 핵심은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행동 수집에 있다.
수집된 행동은 잠정적 역량모델의 초안을 구성하며
타당화 작업을 거쳐 최종 역량모델이 된다.
례는 무엇입니까?’, ‘당시의 상황에서 어 리 유목화하고 각 묶음을 대표할 수 있
떻게 행동하였으며 어떠한 결과를 얻으 는 명칭을 부여한다. 간단히 말하면 특
셨습니까?’ 등의 질문이 활용될 수 있다. 정 대상의 개인들이 업무에서 발휘하는
대체로 인터뷰 과정은 녹음되며 이후 자 긍정적 행동을 수집하여 비슷한 것끼리
료정리 과정을 거쳐 특징적 행동이 도출 묶고 이름을 붙여주는 절차를 거치게 된
된다. 다. 이후 다른 자료 수집방법에서 수집
FGI(focus group interview)도 가장 많이 된 정보들과 통합하여 잠정적 역량모델
사용되는 방법이다. 참여 대상자들을 집 을 구성하지만 FGI의 결과는 역량모델
단으로 구성하여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 의 가장 근원적 틀을 제공한다.
법이다. 특히 역량모델의 대략적 틀을 역량모델링의 몇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을
구성하는데 FGI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설명하였으나 핵심은 성과에 긍정적 영
있다. FGI는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주 향을 주는 행동 수집에 있다. 수집된 행
로 5명-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개인 동은 잠정적 역량모델의 초안을 구성하
별로 특징적 행동을 기록하게 하고 이를 며 타당화 작업을 거쳐 최종 역량모델이
다른 참여자들과 공유하는 방법을 활용 된다. 다음 호에서는 이러한 초안구성
한다. 공유의 과정에서 비슷한 행동들끼 및 타당화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박용호 교수
인천대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삼성생명에서 HRD를 경험했고, 고려대에서 학사·석사, 펜실베니아
주립대에서 HRD 박사를 취득했다. 인천대 취업경력개발원장, 한국인력개발학회 학술대회위원장,
한국기업교육학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경력개발이 주된 관심사이고, 역량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AUGUST HRD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