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27

COMPETENCY MODELING





                 위직급자, 동료 등의 평판을 고성과자               을 위한 자료수집 단계이다. 자료를 수
                 선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집한다는 말의 목적어는 ‘행동’이다. 즉,
                 고성과자들을 선별하는 것은 중요하지                이 단계에서는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
                 만 실제 역량모델링을 수행하다 보면 고              치는 행동이 수집된다. 자료 수집을 위
                 성과자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               해서는 조직 내부나 외부의 역량모델 관
                 다. 업무일정이나 부서 간 미비한 협조              련 자료수집, 공개된 역량사전을 이용하
                 체계 때문인 경우가 많은 까닭이다. 긍              는 방법, BEI, FGI 등의 방법이 활용된
                 정적이고 수준이 높은 행동을 모델링하               다. 특히 이 중에서도 고성과자들의 구
                 려고 하는데, 그러한 특징을 지닌 개인              체적인 행동특성을 직접 수집하기 위해
                 이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활용              많이 쓰이는 방법은 BEI나 FGI이다.
                 하기 용이하고 타당한 역량모델을 개발               BEI(behavioral event interview)는 행동
                 하려면 적절한 대상자 집단을 선별하는               사건면접으로도 불린다. 선별된 우수한
                 것이 중요하다. 이 역량모델링 대상자               성과자들을 대상으로 1:1의 인터뷰 방식
                 집단 선별단계를 거치면 우수한 성과를               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궁
                 나타내는 사람들의 명단이 확보된다. 자              극적으로 BEI에서 수집하고자 하는 정
                 료수집의 대상이 확인되는 것이다.                 보는 행동이다. 업무에서 성공한 사례를
                                                    떠올리게 하고 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
                 Step#3. 역량모델 개발을 위한 자료수집           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BEI는
                 역량모델링의 세 번째 단계는 모델개발               진행된다. ‘업무 중에서 대표적인 성공사



























                 ▲ HRD 담당자들은 활용하기 용이하고 타당한 역량모델 개발을 위해 적절한 대상자 집단을 선별해야 한다.

                 124  HRD MAGAZINE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