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06
혼돈의 시대일수록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직업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바로 알고 있을 때
자신의 일을, 자신의 삶을, 자신의 조직을
더 사랑하고 진정한 경력개발과 마주할 수 있다.
조직적으로도 필요하리라 본다. 자신의 조직에서 개인의 직업이 지니는 가치를
직업에 대한 가치를 바로 알고 있을 때 일깨워 주고 있는가? 조직과 개인의 조
자신의 일을, 자신을 삶을, 자신의 조직 화를 맞추는 것이 왜 중요한가? 내가 하
을 더 사랑하고 진정한 경력개발과 마주 는 일은 조직과 사회를 위해 어떠한 의
하게 된다. 미를 지니며, 어떤 가치를 발현하고 있
팬데믹 상황에서 우왕좌왕하지 말고 혼 는가?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에 먼저 답
돈의 시대일수록 오히려 기본에 충실해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경력개발이 눈에
야 한다. 당신의 조직에서는 경력개발을 보일 것이다. 일의 의미를 먼저 설정해
이야기할 때 무엇을 먼저 전제하고 논의 야 경력을 제대로 볼 수 있다.
하는가? 기계적으로 지난 경력개발 자 한 번 자신의 일의 의미를 생각해보자.
료를 참고하고 타 조직의 Best Practice를 그리고 다음 호에서 함께 현실을 직시해
살피며, 구성원의 요구를 분석하는가? 보자.
[참고 자료]
Patton, W. (2000). Changing career: the role of value. In Collin, A. & Young, R. A., Eds, Future of career.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김효선 교수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평생교육/HRD 전공 교수. 교직지원센터 센터장과 청소년행복교육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한국인력개발학회, 한국산업교육학회, 한국성인교육학회, 한국직업교육학회 등에서
상임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현재 경력이동 및 경력하향, 사회적 네트워크 기반 학습, 사회가치창출 조직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AUGUST HRD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