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05

CAREER DEVELOPMENT





                 원적인 것으로 경제, 인구학적 변화, 기             치를 잃게 되기에 우리는 정신적으로 힘
                 술의 발달에 의해서 직업의 개념이 진화              들어하지 않는가. 가치 없는 인간이 된
                 해온다는 견해들(Patton, 2000)과 별개         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실존을, 정체성을
                 의 논리 전개이다. 즉, 직업의 개념이 진            흔들리게 한다. 그 상황에 대한 두려움
                 화하면서 발달하는 부분도 있지만, 그것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이 가진 변하지 않는 속성도 있으며, 이             우리가 사회와 의사소통할 때 사용하는
                 는 바로 인간은 직업을 통해서 사회와               모든 언어에 의미가 있듯이 모든 직업에
                 의사소통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예를 들              는 가치가 있다. 따라서 불로소득(不勞所
                 어 김효선이라는 사람을 정의할 때 우리              得, unearned income)의 경우는 법적으
                 는 타자에게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로 직업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 대
                 김효선’이라고 이야기한다. 즉, 사회에              표적으로 주식으로 돈을 벌었거나 부동
                 서의 필자의 기능과 위치 및 가치를 말              산으로 돈을 번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해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직업이라는              최근 학생들의 꿈이 건물주라는 이야기
                 기표를 통해 타인과 이야기하고, 사회와              에 어른들이 웃지만, 정말 웃음이 나오
                 만나고, 조직에서 나의 위치를 자리매김              는가. 자신의 자녀가, 우리 사회의 미래
                 한다. 대표적으로 우리는 명함을 주고받              를 이끌어야 하는 아이들이 직업 없이
                 는다. 직업을 잃었을 때, 당장 삶을 영             사회에 어떤 기능도 하지 않기를 바라는
                 위할 돈이 없고, 주거할 공간이 부재하              가. 우리가 직업에 대한 개념을 스스로
                 다는 것을 넘어 사회에서의 기능 및 위              정의하고 논의하는 것이 사회적으로도



























                 ▲  일의 의미를 스스로 찾아내야 가슴 뛰는 삶을 살아갈 수 있다

                 102  HRD MAGAZINE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