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1 - 월간HRD 2021년 8월호
P. 101
HR ANALYTICS
▲ HR 실무자들은 사람, 기술, 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모두 갖춰야 HR 애널리틱스를 제대로 구현할 수 있다.
수요는 미래에도 여전할 것이다. 하지만 HR 역량 갭을 효과적으로 극복해야만
이는 보다 높은 수준의 직원 만족과 서 한다. 그리고 성과향상 기능은 종업원에
비스 기능을 요구할 것이다. 대한 서비스 기능과는 분리되지만, 동시
그러나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조직의 노 에 HR 디지털 전환을 통해 조직의 여타
력 또한 더욱 고도화될 것이며, 관련하 비즈니스 기능(e.g., 재무, 회계, 마케팅
여 필자는 미래 HR이 필연적으로 분화 등)과 디지털 시스템의 통합을 이루며,
와 통합을 통해 진화할 것으로 예측하 비약적인 성과향상의 기반을 제공할 것
고 있다. 그 이유는 직원에 대한 서비스 이다.
와 관리, 그리고 성과 창출이라는 두 영 그러나 HR 애널리틱스를 통한 성과 창
역을 추구하기 위한 요구역량과 방법, 출은 경영이론을 학습하고, 경영현장을
그리고 활동이 매우 상이하기 때문이 경험하며, 복잡한 통계분석을 배우는 것
다. 성과 창출을 위한 HR 기능은 비즈 만으로는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없다.
니스 현황 분석, 이슈 발굴, HR 애널리 이는 HR 애널리틱스의 확산을 가져오는
틱스 수행, 사내 컨설팅 및 조직 변화관 사회적 변화가 단순히 기술의 발전에 의
리 등과 같은 일련의 활동을 수반하게 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 기술,
된다. 이는 HR 기능의 분화와 함께 전 그리고 사회 시스템의 공진화를 통해 나
문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타나는 결과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성과 창출 기능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사람에 대한 이해, 기술적 숙련, 사회 시
서는 분석력과 디지털 역량을 함양해서 스템에 대한 통찰이 함께 어우러져야 사
98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