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월간HRD 2019년 4월호
P. 87














고장완 교수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회장이기도 하다.
교육부 고등교육 정책자문위원, 성균관대 대학교육효과성센터장 및 교육개발센터장 등을 역임했다.
대학교육론, 교육인포매틱스, 고등교육정책분석 등을 중심으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성인교육은 성인학습자들을 교육해 개인의 지적 호기심은 물론
사회적, 경제적 이익의 획득을 충족시키며, 인간의 삶과 연관성이 깊은 쟁점을 다뤄서
민주시민 양성과 지역사회 발전을 더불어 도모시키는 본질적인 교육이다,





전달 방법과 체계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성인학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성인교육과
습자의 능력개발이나 평생학습이 어디에서 어떻게 이루어 HRD가 경쟁자인가 협력자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을 제기
지고 있는가에 대한 고민 역시 중요하다. 이것은 지난 수십 했다.
년 동안 성인교육이 국가적·사회적 이슈로 인식됨으로써 평생학습이 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곳은 지역사회다. 실제
좀 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보여 왔으며, 국가의 적 로 지역사회에서의 성인교육은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음에도
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지역사회 성인교육은 한동안 체계
그렇다면 성인교육 또는 평생학습은 어디서 어떻게 이루어 적인 틀을 갖추지 못했다. 다만 지난 1990년대 중반부터 국
지는가. 가적 차원에서 평생교육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의 경우 성인교육은 주로 대학, 지역사회, 기업에 이후 국가의 평생교육을 전담 및 지원하기 위해서 평생교육
서 이뤄져 왔다. 대학에서의 성인교육은 부설 평생교육원 전담지원기구를 발족시켰다. 이에 따라 국가 수준의 평생교
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생 육센터, 시·도 수준의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 그리고 시·
교육원은 주로 비학위과정이긴 하지만, 평생교육 관련 과 군·구 지역에 평생학습관을 설치해서 운영하고 있다.
목을 일정 학점 이상 이수할 경우 평생교육사 자격을 부여 성인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과 장소 못지않게 중요하
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 성인교육에 있어서 대학의 역 게 인식되는 것이 성인학습자의 역량개발이다. 역량이라는
할이 중요시되고 성인학습자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대학 말은 지난 수십 년 동안 학교교육과 기업교육에서 회자되
에서의 성인교육이 중요한 문제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정 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기업에서는 이미 1980년대
부에서도 고등교육에서의 평생교육 진흥을 위해 기존의 시 부터, 그리고 교육에서는 2000년대 초부터 생애역량이라는
스템을 재구조화하고자 했으며, 이에 따라 관련 정책을 최 이름으로 청소년, 대학생, 성인들의 역량에 대한 많은 토론
근 적극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현재 대학의 평생교육체 이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도 성인학습자의 역량에 대한 논
제 지원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는 대학에서의 평 의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며, HRD 역시 기업교육적 관점
생학습진흥사업은 많은 대학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에서만 성인들의 역량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면 평생학습
성인교육, 또는 평생교육이 많은 조명을 받게 되면서 성인 사회, 특히 지금과 같이 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연결사회에
교육과 HRD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도 한동안 큰 쟁점이 되 서 성인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었었다. 성인교육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 우리나라는 현재 과학기술이 가져올 미래사회의 변혁과 4
고 HRD는 기업이라는 하나의 조직 내에서 발생하지만, 기 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한 관심이 다른 나라에 비해 무척 뜨
업 내에서의 교육과 훈련이 생산성과 성과를 주로 강조함 겁다. AI나 빅데이터 등 새로운 산업혁명에 대응하고자 제
으로써 근로자들의 삶이나 일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담아 시되는 다양한 의견들이 담론을 지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내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학습을 중요시 러한 변화의 시대에 대응해 성인교육은 어떠한 역할을 할
해서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중시하는 성인교육과 조직의 수 있을 것이며, 또 어떠한 모습을 갖추어야 할 것인지에
성과를 강조하는 HRD를 비교하면서 상호 간의 차별성도 관한 고민이 진지하게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APRIL HRD 85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