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월간HRD 2019년 4월호
P. 85
김종표 교수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교수이자 학과장으로 대학원의 평생교육·HRD학과를 개설했다.
평생교육·HRD연구소 소장 겸 서울평생교육원 원장이기도 하다. 평생교육·HRD 관련 학회 및 협회에서 활동 중이며,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와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제12대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평생교육방법론(2016, 양서원)』,
『NCS기반 교수법(2016, 양서원)』, 『실전명강의 교수법(2010, 양서원)』, 『기업교육론(2006, 양서원)』 등이 있다.
학습자를 학생이나 교육생으로 부르지만, 성인교육에서는
구분 학교교육(Pedagogy) 성인교육(Andragogy)
학습자라는 호칭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교수자의 경우 학
The art & science of The art & science of
교교육에서는 선생님 혹은 강사로 부르지만, 성인교육에서 정의 teaching a child helping adults learn
는 학습을 도와주는 지원자 혹은 조력자(facilitator)라고 한 teaching learning
교수-학습활동
다.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은 학교교육은 가르치는 : 가르치는 것-주입식 강의 : 스스로 배우는 자기학습중심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관계가 수직적이지만 성인교육에서 학습자 호칭 학생, 교육생(student) 학습자(learner)
는 수평적이라는 점이다. 교수자의 역할 교수자, 선생님(teacher) 지원자, 조력자(facilitator)
아울러 성인들은 한 기관에 근무하더라도 각자의 배경, 사 ▲ 학교교육과 성인교육의 비교
람과 일을 대하는 태도, 사물과 사건을 보는 관점이 판이하
다. 그렇기에 교수자가 강의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방식도
각각 다르다. 실제로 성인들은 교수자가 제공하는 지식이 과 원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나 아이디어를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의 첫째, 성인들은 학습 필요성에 민감하다. 그들은 배움으로
머리는 강의장에 들어오기 전부터 이미 온갖 지식과 경험 써 얻는 이로운 점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성인교육에서는
들로 꽉 차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성인학습자들 삶과 관련된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그들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지식, 경험, 관점 등을 학습 둘째, 성인들은 자율적 학습 욕구가 있다. 발달심리학적으
목적에 맞게 스스로 재조직하도록 도와야 끊임없는 평생학 로 볼 때 사람은 유소년기에는 의존적이다가, 나이가 들면
습이 이뤄질 수 있다. 서 점차 자율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성인교육에서는 성인
성인 발달 연구에 따르면 성인의 학습 과업 수행능력은 연 들의 내면에 있는 자율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그러나 지능은 다르다. 인간에 셋째, 성인들은 준비성과 동기부여가 제각각이다. 경제적
게는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이 있는데, 기억력이나 암 이익을 위해 학습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다른
기력 등의 유동성 지능은 나이가 들면 감소하지만, 이해력 학습자들과의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흥미를 느끼는 사람
의 결정성 지능은 잘 발달시키면 감소하지 않고 계속 증가 들이 있다. 또한 앎에 대한 동기로 학습에 참여하는 사람들
한다. 그러므로 성인들은 나이가 들어도 충분히 결정성 지 도 있다. 이와 같은 성인들의 특성을 이해해야 효과적인 교
능으로 학습이 가능하다. 이런 맥락에서 성인교육의 특성 육이 이뤄질 수 있다.
넷째, 성인들은 실생활에 익숙한 소재로 이루어진 교육에
내용: 평가: 관심이 많다. 예컨대 직장인, 배우자, 부모 등의 역할과 관
내용을 설명한다 자기말로 표현한다 련된 주제나 소재들이 성인교육에서는 효과적이다.
다섯째, 성인들은 현장을 지향하는 학습을 선호한다. 이는
자기말로
말하기 아동 중심의 학교교육에서 강조되는 교과 중심 교육에 대치
말하게 하기
되는 것이다. 성인교육은 실생활 혹은 직장에서 즉시 적용
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 및 시행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성인들은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받는다. 성인들은
보여주기 해보게 하기
외재적 동기에 의해서 움직이기도 하지만, 더 근본적인 동
예시: 연습: 기의 원천으로 자아존중 욕구, 책임 의식, 권한, 성취욕 등
사례를 제시한다 직접 해보게 한다 도 있다. 따라서 성인교육에서는 이러한 내재적 동기화를
▲ 메릴의 내용요소 전시이론 더욱 유념할 필요가 있다.
APRIL HRD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