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월간HRD 2019년 4월호
P. 84
LIFELONG LEARNING
글 싣는 순서
1. 평생학습이란 무엇인가?
2. 평생학습시대의 성인교수법, ‘그것’이 해결책
이다!
3.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인재양성과 교수법
평생학습시대의 성인교수법,
‘더불어 같이하는 학습’이 해결책이다!
글 _ 김종표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교수
교수자가 학습내용을 전개할 때 가장 적
합한 전략은 무엇일까. 메릴의 내용요소
전시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들에게 학습내 평생학습의 효과를 좌우하는 것은 교육 프로그램의
용이 오래도록 기억되게 하려면 참여와 질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수자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경중을 따져보면 프로그램의 질보다 해당 프로
복습 과정을 꼭 시행해야 한다. 세부적으
그램을 운영하는 교수자의 역량이 핵심이다. 아무리
로 살펴보면 내용·원리·개념·절차를
프로그램이 좋다고 하더라도 결국 그 프로그램의 효
설명하고, 다음으로 사례를 제시하며, 직 과는 학습장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교수
접 연습하게 하고, 연습한 내용을 평가하 자의 교수법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결정된다고
고 피드백을 하는 4단계를 거쳤을 때 학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평생학습을 이뤄내기 위해
성인교수법을 살펴봐야 하는 이유다.
습한 내용이 단기기억장치에서 유실되지
평생학습은 대상이 성인이기 때문에 성인학습자의 특
않고 장기기억장치로 들어가서 유용한 정
성을 이해해서 맞춤형으로 학습을 진행해야 한다. 그
보가 된다. 그런데 많은 학습에서 내용을 렇지만 지금까지는 많은 학습에서 학생들 대상의 교
설명·제시하는 단계에서 그치는 경우를 수법이 보편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성인들은 학생들
종종 살펴볼 수 있다. 교수자들은 언급한 과 다른 학습심리와 환경을 갖고 있다. 그렇기에 학
4단계를 모두 거치는 참여식 방법을 실시 교교육의 교수법을 성인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 관점에서 학교교육과 성인교육을 철저
했을 경우 평생학습시대에 걸맞은 효과적
하게 비교 및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학습이 이뤄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먼저 정의를 살펴보면 학교교육은 어린이를 가르치
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학문이지만, 성인교육은 성인
들이 배우는 것을 도와주기 위한 기술과 학문이다.
또 교수-학습활동 측면에서 학교교육은 ‘가르치는 것
(teaching)’이 주 활동이지만, 성인교육은 ‘학습하는 것
(learning)’이 핵심이다. 그런가 하면 학교교육에서는
82 월간H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