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월간HRD 2019년 4월호
P. 56
FLIPPED LEARNING
글 싣는 순서
1. 플립러닝에서 ‘FLIPPEDNESS’의 의미와 필요성
2. 효과적인 플립러닝: 학습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3. 효과적인 플립러닝은 어떻게 만드는가?
4. 플립러닝을 할 때와 하지 말아야 할 때
글 _ 이예경 서강대학교 교육공학전공 교수
사전학습 내용과 방식의 구분을 통한
효과적인 플립러닝은 어떻게 만드는가?
플립러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설계작업은
어떻게 이뤄져야 할까. 보통 플립러닝에서
는 사전학습과 면대면 학습활동 간의 유기
적 관계가 중시된다. 이 말은 사전학습내용
효과적인 학습의 의미를 고려하면 다양한 관점에서
을 활용하면 면대면에서 유의미한 학습활동
학습효과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크게 ‘학습자가 정
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확한 답을 제시하거나 교육받은 기능을 효과적으로
플립러닝은 사전학습내용을 면대면 학습에 재현하며 교수자가 요구하는 행동을 정확하게 보여주
서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수렴형과 확 는 경우’와 ‘학습자가 직접 학습의 성과를 느끼는 경우’
산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면대면 학 로 학습효과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에서는 교수자가 요구하는 행동을 보여주기 위한
습에서의 문제해결이 주어진 사전학습자료
훈련으로 학습시간을 채워야 할 것이다. 반면 후자에
와 팀원과의 협업을 통해 충족되는 경우이
서는 학습자들의 적극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토론,
며, 후자는 학습자 스스로 더 많은 정보를 협업, 문제해결식 학습 등으로 학습시간이 채워질 것
탐색하고 해석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다. 후자야말로 플립러닝이 추구하는 학습효과다.
경우를 의미한다.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학 즉, 플립러닝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의 주인’이 됨으로
써 학습으로 인한 결과의 성격을 스스로 결정하게 된
습자 간의 차이를 면대면 학습을 통해 메꾸
다. 이런 의미에서 플립러닝의 교수자는 효과적 학습
며 성취감도 안겨주는 것이 전자이고, 새로
에 대해 개방된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운 지식의 내면화와 통합으로 학습자의 성
아울러 학습의 효과는 새로운 전문가적 통찰력 획득,
장을 가져오는 것이 후자라고 할 수 있다. 효과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개인의 시야 확대, 자신만
의 독특한 관점 형성 등으로 다양하다. 이를 위한 평
가의 영역에서는 교수자의 심층적 판단력이 요구된
다. 그렇다면 이토록 다면적이며 정의하기 어려운 플
립러닝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떤 설계방식이
54 월간HRD